실시간 댓글
변상섭, 그림속을 거닐다
세종시교육청 공동캠페인
왜 동(洞)이 없을까
상태바
왜 동(洞)이 없을까
  • 정하길 대변인(새누리당 대전광역시당)
  • 승인 2014.10.13 17: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론 | 도로명주소

지난 8월초 한 지방지 보도에 따르면 어느 우편집배원의 택배 물품을 확인해보니 19개 중 13개나 예전 지번주소를 사용하고 있었다. 도로명주소가 법정주소로 된지 반년이 훌쩍 넘었지만, 아직 정착되지 않은 채 효용성에 문제가 있다고 말들이 많은 모양이다.


과연 도로명주소 정책은 예산만 낭비한 불완전한 정책일까?


예전에 한 지인이 부업으로 각 신용사 카드를 배달하는 일을 한 적이 있다. 본인에게 전해야하기 때문에 직접 집이나 직장을 찾아가야 한다. 그런데 큰 건물이나 가게, 식당, 아파트는 간판이 있어서 적당히 주소를 보고 가면 별 어려움이 없지만, 일반주택은 정말 찾기 어렵다고 했다.


그 지인에 의하면 지도를 보고 지번을 따라 집을 찾는데, 같은 골목을 몇 번이나 돌기 일쑤라고 한다. 어렵게 한 집을 찾더라도 이웃한 지번을 찾는 것 또한 만만치 않은 일이다. 예를 들어 36-24번지를 찾았으면 36-28은 상식적으로 24번지의 앞이나, 좌우에 있어야하는데 실제는 엉뚱한 곳에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한다.


약 28년 전인 1986년, 호주 시드니에 간 적이 있다. 대부분의 선진국처럼 도로명주소를 쓰고 있었다. 처음 낯선 곳에 도착했는데도, 지도책 한권만 있으면 그 넓은 도시의 구석구석을 쉽게 찾을 수 있었다. 물론 훌륭한 도시계획과 쭉쭉 뻗어있는 도로망 구조 덕분이지만 여하튼 지도에서 동명과 도로명만 찾으면 가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었다. 


그러다보니 지도책 하나만 들고 자전거를 타거나 걸어 다니며 관광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었다. 과연 우리나라 대도시에서 이런 모습이 가능했을까? 그때 ‘우리나라도 도로명주소를 도입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가졌었다.


이런 배경과 이유 등으로 우리도 올해부터 도로명주소를 전면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아직은 혼란스럽고 번거롭게 느끼겠지만 편리한 시책인 만큼 곧 정착을 하리라고 본다.


그런데 우리의 도로명주소에는 동명이 빠져있다. 단지 표기상에 필요할 경우 괄호(ㅇㅇ동)를 써서 뒤에 붙이라고 되어있다. 도로명주소만 봐서는 어느 지역에 사는 지 알 길이 없다. “대덕구 ㅇㅇㅇ로에 살아”라고 말하면 다시 “무슨 동인데?”라고 되물어보지 않을 수 없다. 가뜩이나 도로명 자체가 낯선데 말이다.
예를 들어 보자. ‘유성구 문화원로’하면 유성문화원이 있는 길이라는 게 바로 떠오른다. 대부분의 도로가 이렇다면 동명이 굳이 필요 없을 것이다. 그런데 ‘중구 서문로’라고 하면 도대체 ‘서문로’라는 이름이 어떻게 지어졌으며 중구 어디에 있는지 알 도리가 없다.


우스갯소리지만 지방의원에 출마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어렵사리 주소록을 확보해도 동명이 없으니 자신의 지역구 유권자인지를 쉽게 알 수가 없다. 서구의 경우 대전시의원 선거구만 6개인데 주소에는 ‘서구 ㅇㅇㅇ로’로 되어있을 테니 말이다. 출마하려면 자신의 선거구에 있는 도로명을 다 외워야할 판이다.
도로명주소가 기존의 지번주소보다 편리하다는 것은 더 설명이 필요 없을 듯하다. 그리고 점차 익숙해질 것이기 때문에 사용여부를 놓고 더 이상 왈가왈부할 일은 아니라고 본다. 그렇지만 동명을 넣지 않은 것은 재고할 이유가 있어 보인다.


대부분 동명은 세 글자로 되어 있다. 현주소에 세 글자 더 넣는다고 무슨 문제가 있어보이지는 않는다. 지난 1996년 이후 17년 동안 4000억 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해 어렵게 만든 도로명주소. 지금이라도 여기에 동명을 넣는다면 편리하고도 완벽한 법정주소가 되지 않을까?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