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댓글
변상섭, 그림속을 거닐다
세종시교육청 공동캠페인
설계부터 잘못된 ‘명품세종교육’
상태바
설계부터 잘못된 ‘명품세종교육’
  • 이충건
  • 승인 2013.02.15 16: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전문가집단 행복청 말로만 ‘선진교육환경’

과대·과밀학급 잘못된 신도시 건설 사례 되풀이

▲ 지난 13일 오전 8시20분 참샘초 정문 앞에서 원래는 한솔초에 다녀야 할 첫마을 5~7단지 아이들이 세종시교육청이 운행하는 통학버스에서 내리고 있다. 이충건 기자 yibido@sjpost.co.kr


세종시는 꿈의 도시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도 이렇게 믿고 있다. 아이들에게도 그럴까? 아니다. 명품교육 세종의 이미지가 퇴색된 지 오래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교육에 있어 아마추어다. 어떤 핑계를 대도 납득할 수 없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수준의 교육환경을 만들겠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하더니 첫마을 아파트 1~7단지에 초등학교 2개교, 중학교 1개교, 고등학교 1개교만 지었다. 그러고도 이 정도면 충분하다고 큰 소리를 쳤다. 일반적으로 이상적인 학교의 규모는 18~24학급이다. 초등학교만 보더라도 애초부터 30학급(참샘초), 36학급(한솔초) 규모로 학교를 건립했다. 교육전문가들이 혀를 차는 이유다.

학급당 정원도 당초 OECD기준 20명이라더니 슬그머니 25명으로 늘었다. 거기까지는 이해할만했다. 900명 정원으로 지어진 한솔초는 새 학기가 되면 53학급 1590명의 초대형 학교가 된다. 종전 학교의 교실보다 좁은, 정원이 20명인지 25명인지 모를 선진국형 교실에는 학급당 30명의 학생이 빈틈없이 들어찼다. 콩나물시루다. 잘못된 신도시 건설의 사례로 꼽히는 대전 둔산의 과밀학교와 별반 다를 게 없다.

2학년 8학급은 바로 옆의 한솔고등학교 교실을 빌려서 쓴다. 과학실 1곳과 영어전용실, 음악실, 미술실이 교실로 바뀌었고, 교장도 방을 비워줘야 했다. 행정실도 교실로 고칠 예정이다. 대신 교무실의 3분1을 막아 쓴다. 주차장 위쪽에는 땅파기 공사가 한창이다. 세종시교육청이 도서관 신축공사를 하고 있다. 현재의 도서관은 교실 3개로 바꾸는 공사를 앞두고 있다. 아이들은 도서관이 완공될 때까지 2~3층 통로에서 책을 읽어야 한다. 도서관과 붙어 있는 맞벌이 부부를 위한 돌봄교실도 없애야 한다. 아이들이 하교한 빈 교실에서 돌봄활동이 이뤄질 예정이다.

한솔초(5~7단지)와 참샘초(1~4단지)는 동일학구다. 5~7단지 아이들 중 16명이 참샘초에 다닌다. 처음에는 37명이었다가 절반 이상이 한솔초로 돌아갔다. 시교육청이 버스 1대를 지원해 등·하교를 돕는다. 매일 아침 8시20분이면 어김없이 참샘초 정문 앞에 버스가 선다. 다소 거리가 떨어진 4단지 아이들까지 30여명이 버스를 이용한다. 부모가 매일 아이를 실어 나르는 세대도 상당수다. 참샘초도 학급당 인원이 27~28명이다.

중학교는 더 황당하다. 1학년 전체 13학급은 성남고 위쪽에 신설된 종촌중(가칭)에 수용됐다. 첫마을 내 한솔중이 27학급(정원 675명)으로 지어졌기 때문. 종촌중은 인근 아파트가 미 준공돼 사실상 유휴시설이었다. 올해 새 학기가 되면 1학년은 2학급이 더 늘어나고 전체 정원도 1000명 가까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청은 1학년 학생들을 위해 버스 6대를 지원해 주고 있다.

첫마을에는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각각 1개교씩 신설된다. 2014년 3월 개교를 목표로 현재 설계까지 마쳤다. 교육청과 행복청 간 이견도 법제처의 유권해석에 맡기기로 합의한 상태다. 교육청은 학교용지특례법상 조성원가의 20%에 부지를 확보하겠다는 입장이지만 행복청 지침은 50%로 돼 있다.

첫마을은 긴급 조치로 문제가 해결된다고 하더라도 앞으로가 문제다. 교육청은 자체 조사를 통해 1생활권 내 계획된 23개교(초12, 중 6, 고 5)에서 13개교를 추가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마저도 통학구역을 조정하고 학급수를 늘리는 등 자구노력을 거쳤다. 하지만 행복청은 용지가 제한적이고 가용용지가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미분양 상태의 주택용지를 학교용지로 전환하면 전체 세대수가 줄기 때문에 5개교(초2, 중1, 고2)면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행복청은 첫마을 계약자를 상대로 수요조사를 벌였지만 실질 전입세대와 차이가 컸다. 행복청이 첫마을의 학습효과를 얼마만큼 되새기고 이런 결정을 내렸는지 의문이다. 2생활권, 3생활권도 아예 그림을 다시 그려야 한다는 교육계의 목소리가 크다.

이충건 기자 yibido@sjpost.co.kr

Tag
#NULL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