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댓글
변상섭, 그림속을 거닐다
세종시교육청 공동캠페인
국립중앙의료원 입지, ‘서울 VS 세종’ 물밑 쟁탈전
상태바
국립중앙의료원 입지, ‘서울 VS 세종’ 물밑 쟁탈전
  • 이희택 기자
  • 승인 2020.05.22 11: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 원지동 대신 방산동 부지로 승부수… 진전된 흐름은 없어 
세종시, 대안 입지 찾아 맞불 대응… 복지부‧의료원, 중립적 태도 견지
서울 중구 을지로 국립중앙의료원 전경. (제공=의료원)

[세종포스트 이희택 기자] “국립중앙의료원의 이전지 결정이나 협약이 별도로 진행된 바는 없다. 서울시든, 세종시든 모두 검토 대상이다. 원지동 역시 마찬가지다.”

코로나19 시대 위상과 역할이 더욱 부각된 국립중앙의료원. 과연 어디에 자리잡는 게 최선안일까. 이에 대한 물음에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이 같이 답변했다. 

실질적인 중앙감염병병원으로 자리매김하는데 최선안을 찾는 과정으로 다가온다. 그만큼 신중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미래 감염병 관리와 대처, 환자 치료란 기본 기능부터 관계 기관간 연계 시너지 효과, 지역 공공병원 육성까지 포괄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현재로선 서울시가 유리한 고지에 올라있는 상태다. 1953년부터 중구 을지로에 자리잡은 뒤 17년간 원지동 이전안을 추진해온 곳이 서울시다. 

여기에 세종시가 도전장을 내밀었다. 지난 2006년 행복도시개발계획 공표 당시 5-1생활권 입지로 제안해오다 서울시 공세에 주춤한 뒤, 코로나19 시점에 다시금 노크하고 있다. 

원지동 이전이 여의치 않고 세종시마저 경쟁상대로 등장하자, 박원순 시장이 승부수를 띄웠다. 

지난 달 28일 기자회견을 통해 서울 중구 방산동 일대 미공병단 부지 이전안을 꺼내 들었다. 정기현 국립중앙의료원장까지 배석시키며 굳히기에 돌입하는 듯했다. 

일각에선 사실상의 이전 협약이란 정보를 흘리며, 세종시 이전 추진이 물건너갔다는 회의론을 부각시켰다.  

문제는 미공병단 부지 이전안이 만만찮다는 데 있다.

서울시도 이를 인정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기자회견은) 관계 기관과 사전 협의 없이 좋은 대안을 찾아 제시한 것”이라며 “보건복지부나 국방부와 후속 협의나 진척된 사항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사업주체인 보건복지부, 이해당사자인 국립중앙의료원도 중립적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국립중앙의료원 관계자는 “서울시와 미공병단 부지 이전을 놓고 협약 등을 맺은 일이 없다. 정부 차원의 최선안을 기다리고 있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결국 세종시 입장에선 미공병단 부지를 능가하는 대안 입지를 제안하는 게 중요해졌다. 이에 조상호 경제부시장은 지난 주 국립중앙의료원을 찾아 세종시 이전 필요성 등을 역설하며 구애에 나섰다. 

시 관계자는 “국립중앙의료원 입지는 국가 전체를 보고 판단해야 한다”며 “가능성을 열어두고 유치 활동에 매진하겠다”고 강조했다. 

67년 노후화의 길을 걷다 코로나19로 새로운 위상 및 기능 확보가 절실해진 국립중앙의료원. 서울시에서만 ’부지 찾아 삼만리‘로 보낸 17년의 세월을 만회할 신의 한수가 절실한 상황이다.

정부가 어느 시점에 어떤 대안으로 합리적 의사결정에 다가설지 주목되는 2020년이다. 

의료원은 새로운 병원 입지가 결정되기 전까지 현 부지 내 음압격리병상(모듈러 방식)를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한편, 기다리다 못한 국립중앙의료원은 을지로 현 입지에서 기능 보강에 나섰다. 코로나19 대응 장기화와 하반기 2차 대규모 환자 발생 가능성 등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새로운 병원이 완공되기 전, 실질적인 중앙감염병병원으로서 역할을 상시화하겠다는 포석이기도 하다.  

현재 54실 91병상 수준의 음압격리병상 규모에 30병상을 더 추가하기로 했다. 이는 모듈형(조립식) 독립 건물로 설치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이에 필요한 긴급 자금을 지원‧협력키로 했다. 

전국의 감염병 공동 대응체계 지원과 중증도별 환자 이송과 전원 조정 기능도 강화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