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댓글
변상섭, 그림속을 거닐다
세종시교육청 공동캠페인
세종시 중앙공원 2년간 평행선, 남은 카드는?
상태바
세종시 중앙공원 2년간 평행선, 남은 카드는?
  • 이희택 기자
  • 승인 2017.08.20 13:53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Issue In 세종] <上> 시민사회간 절충 어려워… 행복청·LH, 9월 최종안 확정 방침

2년 가까운 논란 끝에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하 행복청)이 지난 5월 ‘중앙공원 2단계 조성’을 위한 최종계획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행복청의 승부수는 통하지 않았다.

중앙공원 조성방안을 놓고 첨예하게 대립해 온 생태도시시민협의회(이하 생태협)와 중앙공원 바로 만들기 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입주자 대표 협의회(이하 입대협) 모두 이를 거부했기 때문. 이후 3개월이 흘렀지만 양측의 평행선은 조금도 좁혀지지 않았다.

시민사회의 균열도 심각한 수준이다. 온‧오프라인에서 치열한 공방을 펼치는 것도 모자라 인신공격까지 서슴없이 이뤄지고 있다. 시민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사업 완공 시기도 어느덧 2019년에서 2021년까지 연기됐다.

타협점 도출은 고사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 구조도 없다. 모두들 결단이 필요한 시기라고 말한다. 이에 본보는 중앙공원 조성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전망 등을 두 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편집자 주>

중앙공원 2단계 구역에 보호되고 있는 금개구리 모습.

[세종포스트 이희택 기자] 행복청은 지난 5월 18일 중앙공원 2단계 최종안을 발표한 뒤, 지난 3개월 간 적잖은 변화의 시기를 거쳤다. 시민사회의 다양한 이견과 저항에 부딪히며 다시금 숨고르기에 나선 상태.

이 사이 지난 달 13일엔 이원재 신임 행복청장이 부임했다. 업무파악과 현안 이해에 필요했던 1개월이었다.

20일 행복청에 따르면, 시민모임‧입대협 및 생태협의 반발과 반대에도 불구하고 5월 최종안에 기초한 기본설계안을 마련해둔 상태다. 전제는 금개구리 보존과 시민 이용형 기능 강화란 2가지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최적의 타협안이란 판단에 변함이 없다.

지난 5월 최종안 어떤 내용 담겨 있나?

지난 5월 최종안은 금개구리와 공존을 위한 ‘논’ 등의 면적을 중앙공원 전체의 약 15%인 21만㎡로 제시하고 있다. 지난 2007년 중앙공원 국제공모 당선작인 ‘생산의대지’ 개념에 담은 면적(27만㎡)보다 조금 더 줄였고, 지난 2014년 이곳으로 금개구리 이전 시 정한 면적(53만㎡)보다는 40% 가량 축소된 면적이다. 생산의 대지를 대신해 ‘공생의 들’이란 명칭도 부여했다.

공생의 들은 실개천과 습지, 초지, 4계절별 변화하는 경관작물과 체험경작지 등으로 구성됐다.

공생의 들 외에 나머지 면적 79만 5000㎡에는 ▲이벤트 정원과 걷고 싶은 거리(금강보행교 연계) 등 도시연계 구역(29만 4000㎡) ▲경관 숲(20만 7000㎡) ▲수질정화 연못(11만 8000㎡) ▲자연미술공원(7만 7000㎡) ▲축제정원(7만 7000㎡) ▲주말농장 기능의 참여정원(2만 2000㎡) 등을 배치했다. 인근 호수공원과 국립중앙수목원(2021년), 국립박물관단지(2023년) 등의 공간들과 연계 효과를 고려했다는 게 행복청의 설명.

금강과 중앙공원을 잇는 상징시설 도입도 구상하고 있다. 런던 아이 대관람차 또는 싱가폴 슈퍼트리 등이 벤치마킹 대상이다. 또 4인승 신교통수단인 ‘소형무인궤도열차(이하 PRT, Personal rapid transit)’ 도입도 함께 추진한다.

중앙공원 전체 면적은 1단계 52만 1000㎡와 논란의 중심에 있는 2단계 88만 7000㎡ 등 모두 140만 8000㎡로 산정했다.

사실상 입장 변화 없는 시민사회, ‘사회적 합의’ 난제

지난 5월 제시된 행복청의 중앙공원 최종안.

지난 2014년 민‧관‧정 사회적 합의는 중앙공원 가시화의 동력으로 작용했다. 중앙공원 2단계 사업이 정상 궤도에 오르려면 이번에도 원활한 합의과정이 필수 과제.

하지만 생태협과 시민모임은 기존 입장에서 요지부동이다. 생태협은 ‘금개구리 보존 면적 축소 절대 반대’, 시민모임은 ‘제3의 터전으로 금개구리 완전 이주 및 논 면적 삭제’를 물러섬 없이 주장하고 있다.

입대협에선 내부적으로 일부 시각차가 존재한다. ‘시민모임의 의견에 힘을 싣자’는 회원들과 ‘행복청의 최종안을 수용하고 보완해가자’는 의견으로 나눠진 것.

박남규 시민모임 대표는 “행복청을 통해 대화 창구를 열자고 제안한 상태”라며 “5월 최종안은 수용할 수 없다”고 못 박았다.

한봉수 입대협 회장은 “행복청이 구체적인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입대협도 5월 최종안은 수용 불가다. 행복청이 시민 다수의 뜻과 배치되는 결정을 하면, 다시 저항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입대협 회원은 “민민 갈등으로 비춰지는 것은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대화의 끈을 놓지 않고 문제를 풀어갔으면 한다”고 말했다.

생태협 관계자는 “중앙공원 2단계는 (이용형이 아닌) 보존형 공원으로 조성하고자 했던 기본 원칙이 있다”며 “행복청의 현재 조성안은 금개구리 서식지를 전제로 한 공원에 배치되는 안이다. 원점에서 재논의를 요구한다”고 주장했다.

세종시 담당자는 “21만㎡ 안에 대해 시민사회 양측 일부에서도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안다”며 “시민 다수 의견을 반영한 이용형 공원을 만들어야 한다는 게 시의 기본 입장”이라고 전했다.

행복청, 9월 최종안 확정할까? 

세종시 중앙공원에 도입할 특화시설로 참고되고 있는 영국의 런던 아이.

결국 이 상태라면 행복청이 이달 중 다자협의체를 열어도 사회적 합의를 이뤄내긴 불가능하다.

따라서 현재 남아 있는 카드는 2장이다. 행복청과 LH가 최종안을 강행하는 것과 주민투표 등 다수의 의견을 물어 결정하는 방안이다.

주민 투표로 결정하는 방식에 대해선 시민모임과 입대협은 찬성, 행복청과 시청, 생태협은 반대하고 있다.
 
행복청은 지난 3개월간 일부 부족한 점을 보완, 오는 9월경 최종안을 확정‧발표한다는 구상을 세웠다. 사전에 LH와 세종시, 환경부, 금강유역환경청, 생태협, 시민모임‧입대협 등 폭넓은 의견을 수렴해 반영할 방침.

행복청 관계자는 “이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며 “시민사회 간 타협이 끝내 이뤄지지 못하더라도 최종안을 밀어붙이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금개구리 2017-08-20 18:23:29
금개구리는 멸종위기종이며 보호되어야 합니다. 대량 생산과 기계화영농으로 농약과 살충제를 마구잡이로 살포하는 논에서는 금개구리가 살 수 없습니다. 금개구리보호구역을 만들어 인간의 탐욕의손길이 미치지 않고 자연파괴를 일삼는 인간의 발길이 닳지 않는 곳에서 살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지금의 중앙공원 2단계구역은 금개구리가 살기에는 너무나 현실적으로 부적절한 장소입니다. 상식이 통하는 정상적인 사고를 가진 인간이라면 금개구리와 박물관단지 수목원 체육시설 금강보행교 PRT 대관람차가 있는곳에 금개구리를 두지 않을것입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