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댓글
변상섭, 그림속을 거닐다
세종시교육청 공동캠페인
고려대 행복도시 올 수 있을까?
상태바
고려대 행복도시 올 수 있을까?
  • 이충건
  • 승인 2016.03.21 14: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축비 25% 지원에 플러스알파 있어야

우선협상대상자 KAIST 정부예산 삭감
고려대 약대 2017년 이전 교육부 승인

장쩌민 전 중국 국가주석은 “중국이 10년 안에 대만의 신죽과학공업원구를, 20년 내에 미국의 실리콘밸리를 따라잡을 것”이라고 호언했다. 그리고 이 말이 현실화되고 있다. 북경의 ‘중관촌과기원구(中關村科技園咎·Zhongguancun Science Park)’가 그 중심에 있다.

청화대와 북경대 등 고등교육기관 39개, 중국과학원과 중국공정원 등 국책연구기관 213개가 북경에 밀집해 있을 정도로 하부구조가 견고하다. 이를 자양분으로 삼아 1988년 출범 당시 500개 이던 기업 수가 2003년 말 1만개를 훌쩍 돌파했다. 당시는 1단계 조성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였다.

중관촌은 기자가 <이제는 클러스터다> 연재물 취재를 위해 2004년 유럽과 중국에서 40일간 살펴본 크고 작은 5개 과학단지 중 마지막 여정이었다. 스웨덴의 ‘시스타’, 프랑스의 ‘소피아 앙띠뽈리스’, 독일의 ‘루켄발데’, 오스트리아의 ‘오버외스터라이히’까지. 이들 클러스터의 공통점은 모두 정부나 특정 재단(혹은 매니지먼트사)이 뿌리가 되고 대학과 연구소가 자양분이 돼 기업을 살찌우고 있다는 점이다. 그만큼 대학의 역할이 중요하단 얘기다.

행복청은 행복도시 4생활권 산학연클러스터(과학벨트 기능지구) 조성을 위해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KAIST)과 고려대 유치에 공을 들여왔다. 카이스트는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지만 정부예산이 삭감돼 동력을 잃은 상태다. 카이스트는 클러스터의 성공을 담보하기 위해 반드시 입주시켜야 할 대학이다. 카이스트만큼 연구역량을 갖춘 대학도 없기 때문이다.

사립대는 재원 측면에서 독립적이다. 그래서 고려대가 현재로선 가장 가시화돼 있다. 교육부가 지난 8월 세종캠퍼스(옛 서창캠퍼스)에 있는 약학대학을 2017년까지 4생활권으로 이전하도록 인가한 상태다. 고려대는 더 나아가 생명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을 중심에 둔 제3캠퍼스 설립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고려대도 재정적으로 여력이 충분치 않다. 고려대가 연세대 송도캠퍼스 정도는 아니더라도 ‘파격적인’ 지원을 바라는 이유다. 연세대는 인천시가 3.3㎡당 50만원에 부지를 공급하고 공동주택과 주상복합을 개발해 얻은 이익 6500억 원을 건축비로 지원해 송도캠퍼스를 설립했다. ‘행복도시 자족시설 유치 지원기준’에 따르면 고려대는 건축비의 25%를 인센티브(보조금)로 지원받을 수 있을 뿐이다.

고려대도, 행복청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도 아직 분명한 카드를 내놓지는 않고 있다. 행복도시 입주(예정)자들은 고려대 정도의 대학이 입주하기를 원한다. 클러스터의 자양분 역할은 충분히 해낼 역량도 갖췄다. 대학과 해당 기관이 협상테이블에 서둘러 앉기를 기대하는 까닭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