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댓글
변상섭, 그림속을 거닐다
세종시교육청 공동캠페인
냉장·냉동해도 죽지 않는 식중독균
상태바
냉장·냉동해도 죽지 않는 식중독균
  • 이수화 교수(대전성모병원 가정의학과)
  • 승인 2016.05.26 09: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때 이른 여름더위, 5~6월 환자 가장 많아
이수화 교수
이수화 교수

강렬한 햇살로 낮 최고 온도가 30도를 웃도는 등 때 이른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식중독 발생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식중독은 한여름에 비해 음식물 관리가 소홀한 5~6월이 1년 중 가장 많은 환자 발생률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식중독은 상한 음식을 먹어 복통, 설사, 구토, 발열 같은 급성 위장관 증세가 생기는 질환이다. 주로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원인물질에 따라 잠복기와 증상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일반적으로 음식물 섭취 후 72시간 이내에 증상을 보인다.

종류는 세균에 오염된 음식을 먹어 생기는 세균성 식중독과 봄나물독버섯·복어알 등에 의한 자연독(毒) 식중독, 그리고 농약·중금속 등 화학물질에 오염된 음식으로 인한 화학성 식중독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식중독이라고 하면 세균성 식중독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세균성 식중독은 독소형 식중독과 감염형 식중독으로 구분되는데, 외부에서 세균에 의해 만들어진 독소형 식중독은 통상적인 조리온도에서 끓여도 세균이 죽지만 독소는 파괴되지 않아 식중독 증세가 일어날 수 있다. 주로 구토, 복통, 설사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감염형 식중독은 독소형 식중독보다 잠복기가 좀 더 길지만 설사는 덜하다. 이와 함께 열이 나는 등의 전신 증상이 있고 대변에 섞인 백혈구나 혈액 등을 조사해보면 염증성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시기별로 보면, 5월에는 주로 살모넬라균에 의한 식중독, 6월과 9월은 병원성 대장균 식중독, 11월과 12월, 2월에는 노로바이러스가 집단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항상 손을 깨끗이 하는 개인위생이 가장 중요하다. 외부활동 후 흐르는 물에 20초 이상 씻는 등 올바른 손 씻기가 필요하고, 요리를 하기 전 손 씻기도 필수다.

음식물을 다루는 데 있어서도 주의가 필요하다. 식중독균은 대체로 열에 약하고 저온에서 잘 번식하지 못하므로 가열 조리식품은 75℃ 이상에서 충분히 익혀 먹고 남은 음식을 냉장 보관하는 것이 안전하다. 단, 조리한 음식물도 2일 이상 냉장고에 보관하지 않도록 한다. 냉장·냉동 상태에서도 식중독균은 증식이 억제될 뿐 사멸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날 음식과 조리된 음식을 따로 보관하고 날 음식을 썬 칼과 도마는 다른 식품을 자를 때 사용해서는 안 된다. 조리된 음식을 다룰 때는 국자, 집게 등 기구를 이용하며, 조리 후 취식하기까지의 시간은 2시간 이내로 한다. 또 음식은 2회 이상 재 가열 하지 않는다.

또한 기온이 올라가는 5월에는 식품 안에 벌레, 곰팡이가 생기기 쉽기 때문에 면류, 커피, 과자 등 비닐류 포장지는 밀폐용기에 보관하거나 냉동실 등에 저온 보관해야 한다.

곰팡이가 많이 발생하는 품목인 음료나 빵은 개봉 후 바로 섭취해야 한다. 또 식품을 구입할 때는 포장지가 찢어지거나 구멍이 나지 않았는지, 용기가 찌그러진 부분이 없는지 잘 살펴야 한다. 유통 중 취급 부주의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면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Tag
#NULL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