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댓글
변상섭, 그림속을 거닐다
세종시교육청 공동캠페인
최민호 시장의 느낌이 있는 월요편지(32)
상태바
최민호 시장의 느낌이 있는 월요편지(32)
  • 최민호
  • 승인 2024.01.15 11: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떤 의리를 선택할 것인가
최민호 세종시장
최민호 세종시장

‘국화와 칼’.
미국의 인류학자인 루스 베네딕트가 1946년 지은 불후의 명저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맞닥뜨린 일본인의 행태는 서양인의 눈으로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일이 많았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목숨을 내걸고 자살 공격을 감행하고 패배의 책임을 할복으로 갚았습니다.

미국 정부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일본군의 정신문화를 파헤쳐 줄 것을 베네딕트에게 의뢰하였습니다. 베네딕트는 미국에 거주하는 일본인의 증언과 일화, 문헌조사, 관찰을 통해 일본문화, 풍습의 심층을 해부했습니다.

그 중에서 베네딕트는 일본인이 아니라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그들의 ‘의리’(義理, 일본어로 ‘기리(ぎり)’)를 발견했습니다. 일본인 스스로도 의리를 일본 고유의 문화로 받아들이는데 이는 서양에서나 다른 나라에는 없는 개념이라는 것입니다.

그가 말하는 일본의 의리는 자신에게 은혜를 베푼 사람에게 목숨까지 바쳐 반드시 보답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본의 문화를 ‘은(恩)의 문화’라고 말하는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그것이 일본의 의리입니다.

그렇다면 베네딕트가 말한대로 의리는 일본에만 있는 유일한 문화인가?

틀렸습니다.

우리나라에도 의리의 문화가 있습니다. 그것도 삼국시대부터입니다. ‘의리학’이라는 이름으로 존재한 의리는 우리 선비들의 최고 화두였습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의리와 일본의 의리는 무엇이 다른 것인가?

우리의 ‘의리학’은 무엇이 옳은가, 무엇이 정의인가를 밝히는 학문이었습니다. 엄정하고 치열했습니다. 그리고 ‘의리’란 정의롭고 옳은 것을 행하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의리에는 두 가지가 있다고 했습니다. 하나는 소의(小義), 하나는 대의(大義)입니다. 소의는 작은 의리, 즉 나에게 베푼 자에게 보은하는 것입니다. 대의는 이를 뛰어넘어 더 많은 사람에게 의로움을 행하는 일입니다.

소의라 하지만, 은혜를 베푼 자에게 보답하는 것은 인간이라면 마땅히 행해야 할 도덕적 의리입니다. 문제는 소의와 대의가 부딪칠 때입니다. 이때는 말할 것도 없이 대의가 우선한다는 것이 우리 선조의 정신이었고, 우리가 배워 온 가르침이었습니다.

우리 선비들은 소의에 연연하는 사람을 소인(小人)이라 했고, 용감하게 대의를 행하는 사람을 대인(大人)이라 했습니다. 선비에게 소인이라 칭하는 것은 최악의 욕이었고 소인배라며 무리 배(輩)자를 붙여 경멸의 의미를 더했습니다. 거기에는 대인보다 소인들의 수가 더 많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우리 선비들의 의리는 무엇이 옳은가를 탐구하고 이를 실천으로 추구하는 것이었지, 은혜를 베푼 사람에게 목숨 바쳐 보답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사무라이의 의리 문화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우리 선비들의 의리 문화와 교잡되어 버린 것은 매우 유감스런 일입니다. 일본 사무라이 문화의 의리와 선비 문화의 의리는 다른 것입니다.

소의와 대의.
개념은 간단해 보이지만, 기실 무엇이 소의이고 무엇이 대의인지 정의하는 것은 분명한 철학과 논리가 요구되는 우리 선비들의 지난한 명제였습니다. 이를 선택하는 것은 한 인간의 인격과 목숨마저 건 모험이기도 했습니다.

어떤 의리를 택할 것인가.
개인의 이로움에 밝기보다 세상을 이롭게 하는 의로움에 밝은 대인의 길.
정답은 이미 나와 있는 것이 아닐지요.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