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댓글
변상섭, 그림속을 거닐다
세종시교육청 공동캠페인
“대전 위기감은 당연한 일”
상태바
“대전 위기감은 당연한 일”
  • 이충건 기자
  • 승인 2014.03.23 16: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뷰 | 이춘희 초대 행복도시건설청장

"빨대효과 더 크지만 광역도시계획으로 상쇄 가능"
"통합 주장 무식한 발상, 좋은 도시 만들 궁리해야"

이번 주 커버스토리 ‘대전의 위기’를 기획하면서 본보는 한 가지 고민에 빠졌다. 세종시 기획 책임자를 만나 정책입안 단계에서 ‘대전의 위기’를 염두에 둔 것이 아닌지 직설적 질문을 던져야 했다. 그러나 적임자인 이춘희(58) 초대 행복도시건설청장이 세종시장 출마를 선언한 이상, 타 후보와 지면배정의 형평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 결국 그에게 "정치 이야기는 빼자"고 제안했다. 대답은 OK. 세종시장 후보 이춘희가 아닌 초대 행복청장 이춘희를 만났다. <편집자 말>

Q. 행복도시 건설계획 수립하면서 대전과 지하철을 연결하는 방안도 검토됐었나. BRT(간선급행버스) 체계가 대전인구 유입을 흡수하는 데 지하철보다 유리하다는 주장이 있다.

A. "검토했던 것은 맞다. 하지만 경제적으로 보나 행복도시의 성격으로 보나 BRT가 더 적합하다고 전문가들이 봤다. BRT는 기본적으로 세종시내 교통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이다. 애초부터 대전이나 오송과 연결하는 수단이 아니다. 현재 일부만 건설돼 있어 도시 내 교통보다는 대전이나 오송과 연결하는 수단처럼 여겨질 뿐이다. 행복도시는 20㎞짜리 대중교통 축을 만들고, 이 축을 중심으로 도시를 건설하는 구조다. BRT도로는 목걸이 줄이라고 보면 된다. 하나하나의 진주나 보석 알이 하나하나의 마을인 것이다. 마을들을 꿰는 줄이 바로 BRT다. 도시가 완성되면 행복도시 안에서 각각의 마을을 이동하며 모든 생활을 충족할 수 있다."

Q. 그렇다면 BRT가 대전인구 흡수에 유리하다고 봐야 하는 것 아닌가.

A. "지하철을 연결했다면 오히려 더 많은 인구가 세종시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거주하면서 보다 편리한 교통으로 대전의 직장으로 출퇴근이 가능하지 않겠나."

Q. 이주공무원이나 서포트(support) 인력만으로 목표인구를 채울 수 없는 노릇이다. 주변도시와의 경쟁을 애초부터 예상했나.

A. "어느 정도는 당연하다고 봤다. 물론 1단계 완성 이후부터다. 1단계 완성시점인 2015년 인구를 15만 명으로 추산했다. 이것이 MB수정안으로 늦춰졌다. 이주공무원 가족과 유발 인구를 계산해보면 15만 명 도시가 된다. 35만 명은 다른 자족기능을 집어넣어야 만들 수 있다. 첨단산업기능, 대학연구기능, 의료복지기능, 국제문화교류 기능 등이다. 정말 안타까운 게 이런 기능에 입주할 기관의 이전 결정을 2005년 여야협상에 의해 법을 만들면서 명시했다. 당시 결정된 계획이 이제 서야 이행되고 있는 것이다. 2015년 이후 입주할 기관들은 이미 MB정부 때 이전이 확정됐어야 한다. 허송세월을 한 것이다. 지금 계획세우고 땅 사고 건물지어야 하는데 실제 입주까지 또 얼마나 시간이 걸리겠나. 5년 이내에 힘들다. 그래서 자족기능으로 유치하기로 한 기관이 지금 하나도 없다. 기껏해야 충남대병원 정도다."

Q. 세종시가 건설되면서‘빨대효과’와‘후방효과’가 동시에 나타나고 있는 것 같다.

A. "그렇다. 빨대효과도 있지만 후방효과도 충분히 예상했다. 가령 조치원에서 첫마을로 이사를 많이 갔다고 큰일이라고 걱정을 한다. 반면 조치원인구는 매년 3000명 이상 늘고 있다. 대전도 마찬가지다. 대전인구가 세종시로 유입되기도 하지만 세종시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노은에 공무원이 거주한다거나 정부세종청사를 상대로 컴퓨터 업체들이 이득을 보는 사례도 있다."

Q. 중장기적으로는 빨대효과가 더 크지 않겠나.

A. "(행복도시건설계획 수립 당시에도) 느낌상으로는 아무래도 빨대효과가 더 클 것이라고 판단했다. 학자들 의견도 그랬다. 대구·광주 등까지 빨아들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봤다. 일정 부분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는 시각이었다. 그러면 어떻게 할 것인가. 답은 광역도시계획이다. 세종시와 주변도시의 역할·기능분담이다. 예정구역 목표인구가 50만이다. 이 인구로 세종시에 호텔을 하나 세우면 장사가 잘 안 될 것이다. 그렇다면 유성에 있는 호텔을 활용하자는 식이다. 광역상수도도 같은 예이다. 남아도는 대전시의 상수도용량을 세종시에서 함께 사용하고 있지 않나. 직급이 올라가는 세종시공무원은 대전공무원교육원에서 교육시키면 된다. 공주는 역사·문화, 대전은 상업 중심 등 역할을 나누고 서로 연계를 시켜줘야 한다. 물론 기능만 나눠줘서는 연결이 안 된다. 13개 노선의 도로가 그런 역할을 하는 것이다."

Q. 최근 대전의 한 시장 예비후보가 세종-대전 통합 얘기를 꺼냈다.

A. "무식한 발상이다. 행복도시계획을 세울 때 50만 도시로는 수도권 인구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로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광역도시계획을 통해 대전, 청주, 천안, 공주 등을 묶어 광역경제권을 만들려고 한 것이다. 그래야 수도권에 대응할 수 있는 권역이 될 수 있다고 봤다. 주변도시까지 어우러져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축으로 만들자는 목표가 있었던 것이다. 도시 역할과 기능을 분담해 상생할 방안을 찾아야지 거론할 가치도 없는 발상이다."

Q. 대전이 느끼는 위기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A. "2006년에 행복도시 홍보를 위해 특강을 많이 다녔다. 대전에 가면 으레 나오는 얘기가 ‘대전은 어떻게 되느냐’였다. 당연히 대전에는 위기가 온다. 좋은 주거환경을 갖춘 새로운 도시가 생기면 위기가 오는 것은 사필귀정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느냐. 대전을 더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면 된다."

Q. 마지막으로 세종시 인구가 언제쯤부터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보나.

A. "분당이 수도권 최고 주거단지로 평가받는데 5년이 걸렸다. 통상 이 정도 시간이 걸린다. 세종시가 좋아지고, 아이들 교육하기 좋아지면 사람들이 세종시에 와서 살 것이다."

이충건 기자 yibido@sjpost.co.kr

Tag
#NULL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