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댓글
변상섭, 그림속을 거닐다
세종시교육청 공동캠페인
세종시 중앙공원 해결 '분수령' 될 6월
상태바
세종시 중앙공원 해결 '분수령' 될 6월
  • 이희택 기자
  • 승인 2016.06.03 10:23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강환경청, "금개구리 개체 수 모니터링" 표명
행복청 주도 이달 다자협의체 구성도 '초읽기'
생태협·시민모임·입주자협의회 등 입장도 주목

세종시 중앙공원 논란이 6월 최대 분수령을 맞을 것으로 전망된다. 금강유역환경청(이하 금강환경청)이 2일 금개구리 개체 수 조사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공식 표명했다. 여기다 행복도시건설청(이하 행복청)도 이달 10일까지 다자협의체 구성을 매듭짓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금개구리 논란을 관망해 오던 금강환경청의 입장이 바뀌고, 행복청도 적극적인 문제 해결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보이면서 중앙공원 문제가 새로운 해법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되는 6월이다.


금강환경청 "금개구리 개체 수 조사하겠다"   

 

금강환경청은 지난해 하반기 행복청, LH, 세종시, 중앙공원 바로만들기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 생태도시협의회(이하 생태협) 등 5자 모임이 활성화될 당시 논의 주체에서 빠져 있었다. 당시 참여해 달라는 행복청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


금강환경청은 이 5자모임의 참여 거부 사유로 "국가기관의 적극적인 개입이 오히려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했다. 


실제 5자 모임은 지난해 말 ‘1단계 선 개발, 2단계 공원 후 논의’라는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냈다. 당시 세종에서의 이 같은 사회적 합의는 당시 이와 유사하게 금개구리 및 두꺼비 논란이 일고 있던 충북 오송지역과 비교할 때 모범사례라고 금강환경청은 판단했다.    


그러나 올 들어 되레 논란이 확산될 조짐을 보이면서 금강환경청의 입장에도 변화가 일기 시작했다. 2단계 공원 대상지인 장남평야 내 ‘논 지역’에서 이뤄진 경작 역시 문제가 있을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강환경청은 문제 해결은 고사하고 금개구리 개체 수 보존이 제대로 안 되고 있는데다 ‘금개구리 최적 서식지’를 둘러싼 논란이 오히려 가중되고 있다고 봤다. 특히 LH가 용역을 통해 진행 중인 개체 수 1차 조사 결과 5000여 마리에 그친 점도 환경청 입장 변화의 결정적 변수로 작용했다. 

 

이런 가운데 시민모임은 지난달 금강환경청에 논 경작 활동에 대한 고발장을 접수했다. 결과적으로 이런 이유들이 복합 작용해 ‘(금강환경청의) 금개구리 개체 수 조사’라는 조치로 이어진 것이다.


금강환경청 관계자는 "사전 조사 차원에서 이달 1일 장남평야 일대와 대체 서식지로 제안된 합강 일대를 둘러봤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는 생태협과 시민모임 양측 관계자가 모두 동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윤섭 금강환경청 환경관리국 자연환경과장은 “국가기관이 객관적이고 안전한 방법으로 금개구리 개체수 모니터링에 나서기로 했다”면서 “환경청 조사의 초점은 '공원 조성'이 아니며, 현재 장소로 서식지를 이동한 금개구리가 어떻게 하면 더 잘 살아갈 수 있는지에 맞춰져 있다”며 조사 배경을 설명했다.


일단 금강환경청은 생태협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 ‘전수조사’ 방식이 아닌 ‘모니터링 기법’ 조사를 염두에 두고 있다. 금개구리가 소리에 반응하도록 하는 방안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적용해 보겠다는 방침이다. 금개구리 서식 환경과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고도 개체 수 확인이 가능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금강환경청은 조사에 착수하게 되면 관계기관을 비롯해 전문가, 시민모임, 생태협 관계자가 모두 참석하고 입회한다는 전제조건도 강조했다.


이와 함께 환경청은 시민모임 일부 회원이 주장한 ‘합강(미호천+금강)’ 생태공원 내 대체서식 환경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인식도 나타냈다. 그 대신 현재의 논과 가로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있는 들판에 물을 댈 경우 보다 나은 대체 서식지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을 냈다. 


금강환경청은 이달 중으로 조사에 착수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기계 경작과 수확이 이뤄지기 이전 시점을 마지노선으로 정한 것.


일단 환경청이 금개구리 개체수 조사 의지를 밝히면서 향후 진행될 행복청 주도의 다자협의체 구성이 중앙공원 해결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지도 주목되고 있다. 


 

행복청 주도 다자협의체, 이달 10일쯤 윤곽 

 

시민모임과 46개 단지로 구성된 행복도시입주자대표협의회(이하 입주자협의회)는 ‘논 없는 중앙공원’ 조성에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반면 생태협(22개 단체)은 ‘논 보전의 미래 가치’내세우며 맞서고 있다.


그동안 상호 감정의 골이 깊어진데다 시간이 갈수록 타협의 여지도 줄어든 것이 현실. 이와 맞물려 현 시점에선 '실질적인 다자협의체' 구성이 중앙공원 문제를 풀 수 있는 마지막 수단이란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상태다. 


행복청이 다자협의체 구성에 나선 이유도 여기에 있다. 앞서 지난달 31일 LH, 세종시, 시민모임 및 입주자협의회, 생태협 등을 기본으로 금강환경청과 환경부에 참여 공문을 정식으로 발송했다.


행복청은 이 공문에서 이달 10일까지 다자협의체에 참여할 각 기관 및 단체명과 전문가 등을 추천해 달라고 요청했다. 행복청은 오는 10일 (추천) 접수 마감과 함께 최대한 서둘러 첫 '협의 테이블’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행복청은 첫 협의 테이블이 마련되면 그동안 쟁점으로 부각된 ▲금개구리 개체수 조사 ▲금개구리 최적 서식지 찾기 ▲2단계 공원의 바람직한 조성방안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행복청은 지난해 하반기 합의점을 도출한 ‘1단계 이용형 공원 우선 착공’이라는 대원칙도 다시 확인하겠다는 방침이다. 하반기로 예정된 1단계 공원 착공마저 미뤄질 경우 2018년 1단계 오픈 목표가 차질을 빚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시민 L씨는 “금개구리 개체수 조사가 공정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이뤄지고, 다자협의체가 원활히 진행돼야 한다”면서 “이달 중에는 중앙공원 조성사업이 정상화 궤도에 오를 수 있길 기대해 본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작은 연인들 2016-06-02 18:00:09
세종 포스트가 세종 제일 언론이 되시길 희망합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