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댓글
변상섭, 그림속을 거닐다
세종시교육청 공동캠페인
발칙한 상상력의 진화, 소설의 경계 확장
상태바
발칙한 상상력의 진화, 소설의 경계 확장
  • 박선영 기자
  • 승인 2014.05.26 12: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평 | ‘끄라비’
어린 시절 일시적 청각 상실을 겪었던 소설가 박형서씨는 네 번째 소설집 <끄라비>에 실린 자전소설 ‘어떤 고요’에서 5년 이내 청력을 완전히 상실할 것이라는 의사의 선고를 들었다는 고백을 담담하면서도 익살스럽게 털어놓았다. ‘문단협객’이라는 별명의 내력을 살펴볼 수 있는 이 소설에서 그는 다음 책은 온갖 소리에 대한 것으로
어린 시절 일시적 청각 상실을 겪었던 소설가 박형서씨는 네 번째 소설집 <끄라비>에 실린 자전소설 ‘어떤 고요’에서 5년 이내 청력을 완전히 상실할 것이라는 의사의 선고를 들었다는 고백을 담담하면서도 익살스럽게 털어놓았다. ‘문단협객’이라는 별명의 내력을 살펴볼 수 있는 이 소설에서 그는 다음 책은 온갖 소리에 대한 것으로 "말도 많고 탈도 많던 내 청력이 걸어간 마지막 여행의 기록이 될 것"이라고 적었다. ⓒ문학과지성사

독창적 단편 7개 담아 명상적·이지적 스타일 변모

박형서 지음 | 문학과지성사 펴냄 | 
1만3000원
박형서 지음 | 문학과지성사 펴냄 | 1만3000원

박형서(42)의 네 번째 소설집 <끄라비>에는 비슷한 유형의 이야기가 한 편도 없다. 이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모두 일곱 편이 실린 이 단편집이 보여주는 서사의 스펙트럼은 ‘광대하다’는 형용사를 동원해도 크게 과장이 아니다. 330억년을 주기로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는 우주를 배경으로 삼는 이야기(‘티마이오스’)부터 50여 년간 하나의 수학적 증명에만 매달린 여성 수학자의 생애를 그린 이야기(‘Q.E.D’)와 대전행 KTX에서 의자로 변해버린 승부사의 패배담(‘무한의 흰 벽’)을 거쳐 작가 자신의 일대기를 그린 자전소설(‘어떤 고요’)에 이르기까지 작품들은 하나의 겹침도 없이 제각각 고유하다. "등단하기 전부터 나는 나 자신이 잘 쓰는 작가가 아니라 다르게 쓰는 작가라 생각해왔고, 그게 내 자부심의 원천이었다"는 자전소설 속 진술은 오만하게 읽힐 수도 있지만 ‘참’이다. "나 스스로 전과 다르게 쓴다. 〔…〕 즐겨 사용하는 패턴이 있다면 그것은 곧 게으름 혹은 선입견의 침식작용이라 여겼다"는 이 작가의 지독한 성실성에 감탄한다.

독특한 상상력과 발칙한 유머로 요약돼온 박형서의 스타일은 새 소설집에선 유머의 색채를 걷어내고 보다 명상적이고 이지적으로 변모했다. ‘소설이란 무엇인가’라는 소설가의 존재론적 물음을 기저에 깔고 다양한 시공간을 가로지르며 주조해내는 이야기들은 소설가를 다양한 직업군 중 하나가 아닌 우주의 섭리와 조화를 간파해낼 ‘신적 인간’의 자리에 올려놓으려는 무모하지만 아름다운 모종의 야심을 품고 있는 듯 보인다.

가장 고전적 형식으로 고아하게 쓰인 ‘아르판’은 그 고전적 힘으로 독자를 가장 강하게 끌어당기는 작품이다. 박형서라는 별 볼 일없는 등단 작가가 태국과 버마 사이의, 전기도 전화도 없는 문명의 외곽지대 ‘와카’라는 곳에 숨어살 듯 청춘을 보낸 시절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표현과 수용 사이의 괴리 문제를 제기한다. ‘나’는 기껏해야 이백여 명이 쓰고 있는 와카어를 익힌 최초의 외국인. ‘나’는 두 개의 산을 넘으면 와카어로 소설을 쓰는 와카의 유일한 소설가가 있다는 말을 듣고 그를 찾아가 몰래 엿보다가 경외감으로 압도당한다. 낮 동안 고된 노동에 시달린 육체를 정갈히 가다듬고, 쓰러져 가는 허름한 집의 호롱불 앞에 앉아 오직 부족의 예닐곱 명만이 읽을 수 있는 언어로 소설을 쓰고 있는 진짜 작가가 거기 있었던 것이다. "그는 공동체의 언어를 가꾸고 다듬는 일에 대가 없는 행복을 느끼는 진짜 작가였다. 〔…〕 중요한 건 이야기 자체의 즐거움이었다. 〔…〕 그에게로 가는 길은 기대에 가득 찼고 머무는 동안 경탄으로 충만했으며 돌아오는 길은 질투 때문에 괴로웠다." ‘나’는 "아르판이 존재하는 이상 나는 끝내 삼류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훗날 한국으로 돌아온 ‘나’는 황홀하도록 아름다운 와카 유일의 작가가 쓴 소설을 번역하다가 <자정의 픽션>이라는 제목을 달고 자기 작품인 양 발표해버린다. 이 작품으로 유명 작가가 된 ‘나’는 ‘제3세계 작가 축제’의 기획위원장을 맡아 와카의 작가를 불러들이고 그에게 오랫동안 죄의식에 시달려온 자신의 표절을 위악적으로 털어놓는다. 소수민족의 언어로서 조만간 사라져버릴 와카의 "이야기를 영원히 살리기 위한 것"이었으며 "우리가 벌이는 모든 창조는 기존의 견해에 대한 각주와 수정을 통해 나오는 것"이라고 정당성을 주장하면서.

이번 소설집에는 새로운 유형의 지식소설이라 부를 만한 작품들이 여럿 눈에 띈다. ‘Q.E.D’는 현란한 과학과 수학적 지식의 향연이 소설이란 무엇인가 하는 문학적 물음과 병행우주처럼 놓인 채 펼쳐진다. ‘티마이오스’의 공상과학(SF)적 상상력은 흡사 영화 <매트릭스>처럼 급박한 반전을 맞는다.

박선영 기자 aurevoir@hk.co.kr

Tag
#NULL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