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댓글
변상섭, 그림속을 거닐다
세종시교육청 공동캠페인
세종시 지명정보의 체계적인 축적을 바라며
상태바
세종시 지명정보의 체계적인 축적을 바라며
  • 송길룡
  • 승인 2012.05.31 11: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명유래조사의 의미와 기본문헌

세종시 건설이 진행되면서 도심구역은 이전의 형태를 완전히 잃어버리고 새로운 구획 설정에 의하여 예전과는 딴판인 모습이 되어간다. 역사 속으로 사라질 전통적인 지역문화도 함께 사라지는 것이다. 이런 지역문화의 면면 중에서 자칫 놓치기 쉬운 사항이 지명이다. 도시개발시에 접하게 되는 여러 가지 문화재들은 보통 건조물의 형태를 지니기 때문에 자리를 옮겨 전시하거나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명은 어떤 구체적인 모습을 갖춘 것이 아니라 그것이 지시하는 지리적인 위치나 건물을 나타내는 어휘의 형태로 존속하기 때문에 해당 장소가 사라지면 끈 떨어진 연처럼 실질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때문에 그곳에 살던 사람들의 기억에서마저 증발되어버리고 만다.

하지만 지명은 한 나라의 언어와 마찬가지로 해당 지역을 살아가는 지역민들의 소통의 구심점이 됨으로써 지역문화전승의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제 곧 세종시 출범을 앞두고 있는 충남 연기군에서는 그러한 지명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일찌감치 지명유래에 대한 조사결과를 간추렸다. 연기문화원에서 2007년에 발간한 『연기군의 지명유래』가 그것이다. 이 도서를 출발점으로 하여 이후 몇 가지 지명유래와 관련된 문헌들을 발견할 수 있다.

세종시의 지명유래조사는 지나가버린 과거를 기념하거나 유지하기 위해 일회적으로 그칠 수 없는 독특한 특성을 지니게 된다. 세종시는 오랜 기간 자연적으로 형성되어온 전통적인 촌락과 최신 도시설계기법에 의해 도입되는 최첨단 건축물의 도심이 공존하는 도농연계형 도시의 특성을 보인다. 촌락과 도심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교류되는 국면을 피할 수 없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촌락의 지명과 도심의 지명이 양쪽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안내되고 소통될 수 있도록 보급가능한 형태의 지명정보로 제공하는 일이 절실해진 것이다.

이와 같은 방향에서 지명유래조사를 시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본 문헌을 통한 기초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여기서는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관련 자료를 몇 가지 소개하기로 한다.

(1)『연기군의 지명유래』(2007, 연기문화원)
연기군의 읍면동을 모두 망라하여 대략 2,000 항목이 넘는 지명들을 수록하고 있다. 지명마다 간단한 유래를 설명하고 있고, 경우에 따라 사진삽화가 제시된다. 수록의 크기에서는 방대한 규모를 보이지만 단권의 간행물이 가지는 한계로 인해 상세한 지명 설명과 지명 관련 시각자료가 불충분하다.






(2)『행복중심복합도시 지명』(2008,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도시건설 예정지역에 한정해 해당 지명들을 다룬 책이다. 각 지명에 대해 지도와 사진을 통해 개략적인 위치와 시각적 특징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금남면, 남면, 동면, 반포면, 장기면의 철거와 유실로 사라질 장소의 지명들을 다루고 있다는 의미가 있다. 하지만 그밖의 지역에 대해서 다루지 않는 것이 아쉽다.






(3)『연기군 터전의 뿌리를 찾아서(I) - 금남면,남면,동면』(2011, 연기문화원)
연기군의 지역적 연원을 탐구하는 지역조사 문헌으로서 지명을 직접적인 소재로 삼고 있지는 않지만 지명유래조사를 위해서는 기본적인 참고문헌이 된다. 도시건설로 지역적 특성이 바뀌는 금남면, 남면, 동면을 첫째권으로 먼저 간행했다. 학술적인 관심을 이끌기에 충분할 정도로 상세한 연원설명이 이루어져있다는 특징이 있다. CD가 부록으로 제공된다.

(4) 그밖에 참고할 만한 문헌으로는 앞으로 더 이상 간행되지 않을 마지막 간행본 『연기군지』(2008, 연기군지편찬위원회)와 각 면 향토지들이 있다.

위의 기본문헌들을 살펴보면, 향후 발간하게 될 첫 『세종시지』의 구성 중 지명유래 부문을 어지간히 상상해볼 수 있게 된다. 사라져가는 지명들과 새로 만들어지는 지명들이 각각의 역사를 이어가며 하나의 공간속에 어우러지는 것을 어렵지 않게 예측해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들은 미리 앞서서 적절한 기반을 가지고 폭넓게 연구조사하는 풍토 없이는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현재 세종시의 거주민들뿐만 아니라 미래의 예정입주민들을 위해서 세종시의 면면을 드러내보여줄 수 있는 지명정보의 체계적 축적을 희망해본다.

Tag
#NULL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