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신도시 교통 신호등만 ‘415개소’, 적정한가? 

‘원활한 교통 소통 저해 VS 보행 안전위한 필수 선택’ 충돌 교통 전문가들도 과다한 설치 인정... 관계 기관, 현재로선 ‘안전 우선’ 가치 

2020-10-16     박종록 기자

[세종포스트 박종록 기자] 신호등은 보행자의 안전 뿐만 아니라 원활한 교통 소통 수단으로 통한다.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나 설치 장소와 위치에 대한 ‘운전자와 보행자’ 입장은 상반된다. 

보행자나 학부모 입장에선 신호등이 곳곳에 설치돼 노약자나 어린이들의 안전한 통행을 보장받길 원하나, 갈 길 바쁜 운전자들은 가다 서다를 반복케하는 신호등으로 인해 짜증내기 일쑤다. 

평균 나이 약 34세, 합계 출산율 1위 특성에다 아동‧학생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세종특별자치시 신도시. 현재 신호등 설치 개수와 장소는 적정하다고 볼 수 있을까. 

교통 전문가들 사이에선 교통 신호등이 과도하게 많은 편이란 의견을 내놓는 이들이 적잖다. 

16일 세종시에 따르면 신도시 내 교통 신호등은 415개소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생활권별로는 2생활권이 146개소로 가장 많았고, 1생활권(119개소)과 3생활권(69개소), 4~6생활권(현재 81개소) 순으로 나타났다. 1생활권과 3생활권의 경우, 학교 주변 등 어린이 보호구역을 중심으로 회전 교차로 도입이 늘고 있어 상대적으로 적은 모습이다.

신호등 개수가 많다는 인식은 실제 도로에서 체감되는 부분이다. 

본지 취재 결과, 1생활권에선 고운동 가락마을 10단지~어진동 국가보훈처까지 3.8km를 차량으로 달리는 동안 14개의 신호등을 만날 수 있었다. 점멸등을 포함하면 15개에 달했다. 소요시간은 15분. 

2생활권에선 다정중앙로에서 새롬중앙로까지 약 2km 구간에 걸쳐 12개 신호등을 확인했고, 소요시간은 원활한 연속 진행 신호에 따라 5분 남짓으로 파악됐다. 

3~4생활권에선 남세종로 종점에서 한국개발연구원까지 약 2.6km 구간에 신호등 11개, 점멸등 3개 등 모두 14개가 존재했다. 소요시간은 13분. 

결론적으로 1생활권 특정 도로에선 250m, 2생활권 한 도로에선 166m, 3~4생활권에선 185.7m당 1개 신호등이 설치된 셈이다. 

한국교통연구원 관계자는 “이곳에서 살고 있는 시민 입장을 떠나 전문가 시각으로 보더라도 세종시 신도시 신호등은 상당히 많은 편”이라며 “교통 소통과 안전성 가치 사이에서 보다 합리적인 대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현재 신호등 설치 의사결정은 교통안전시설 등 설치‧관리에 관한 규칙 제17조(지방청 등 교통안전시설 심의위원회) 규정에 따라 경찰서의 ‘교통안전시설 심의위원회’를 통해 이뤄진다. LH 설계를 거쳐 시청과 경찰서, 도로교통공단이 검토하고 합의하는 구조다. 

관계 기관들은 아파트 단지 이면도로까지 신호등 설치를 요구받는 일도 잦아 신호등 설치개수가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역설하고 있다. 현재로선 ‘자가용 소통’보다 ‘보행 안전’의 가치에 무게중심이 놓여진 것으로 해석된다. 

정지선 부근에 제1신호등을 설치해 신호 위반 주행을 억제하는 정책도 이의 연장선상에 있다.

다만 국민권익위원회가 신호등 식별이 어렵다는 민원을 받고 제2신호등(교차로 건너편) 설치를 권고한 만큼, 이의 변화가 찾아올지 주목된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미 여러 도시에서 오래 전 선제 도입한 ‘감응형 신호기’ 활용을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감응형 신호기는 차량 통행이 상대적으로 적은 이면도로에서 신호주기 대신 차량 감응 방식으로 제어된다.

세종시 신도시에는 1개소도 없으나, 조치원읍 신흥리 일부 도로에 감응형 신호등이 설치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감응형 신호등은 차도간 차량 통행량이 현저히 차이나는 곳 또는 신호 연동이 필요없는 단일 신호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며 “신도시에는 신호등간 연동이 되지 않고 차량 통행량이 현저히 차이나는 구간도 많지 않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답변했다. 

신호등 방식 변화가 어렵다면, 연속 진행이라도 보다 촘촘하게 잘 되길 바라는 목소리도 있다.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경우가 워낙 많아서다. 

시 관계자는 “신호 연동은 대부분 적용하고 있고, 교통신호 최적화 용역을 도로교통공단에 의뢰해 최적화된 신호를 찾고 있다”며 “다만 출퇴근 시간대 짧은 신호주기에 대한 민원이 많은 게 사실이다. 문제해결을 위해 다각도로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미래 신호등 설치 방향성도 제시했다. 

그는 “교통신호는 원활한 교통흐름과 교통사고 예방을 모두 보장해야 하나, 안전사고 예방이 우선이라고 생각한다”며 “어느 한쪽 방향에 치우친 통행 불편 개선 요구 등은 지양해야할 부분”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