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게임 유치 무산, 대평동 ‘종합운동장’ 미래는

올해 조세재정연구원 예타 결과 발표 예고… B/C 1 이상 충족 주목  행복청‧세종시, 콘셉트 변화 없이 원안 추진… 세종시 재정부담은 위험요인 

2020-05-01     이희택 기자

 

#. 대평동 종합체육시설, 즉 종합운동장은 당초 행복도시 개발계획상 2017년 전‧후 준공을 목표로 구상됐으나 2020년 정부의 예비타당성 대상 사업에 선정, 본격적인 계획을 수립 중이다. 

#. 기본 구상은 ▲제1부지(대평동 아파트 모델하우스촌) : 주경기장(2만 5000석)과 보조경기장, 제1주차장, 공원 ▲제2부지(코스트코 뒤편) : 실내체육관(4000석)과 50미터 레인 실내수영장(10레인, 다이빙 포함), 제2주차장, 농구장, 테니스장 등으로 요약된다. 주차장 규모는 1000대 수준으로 설정됐다.  

#. 지역 전반의 상가 공실 상황을 감안, 상가 등은 별도 시설로 검토되지 않았다. 총사업비는 국비(60%) 2493억 원과 지방비(40%) 1502억 원 등 모두 3995억 원으로 제시됐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주경기장과 보조경기장으로 축소된 2600억 원 규모를 다시 늘려잡았다. 최초 구상에는 5000억 원 수준의 총사업비로 제시된 바 있다. 

[세종포스트 이희택 기자] 지난해 12월 19일 드디어 정부의 예비타당성(이하 예타) 검토 대상에 오른 세종시 ‘종합운동장’. 

예타 대상 포함은 수년간 지연된 사업 정상화의 청신호라 할 수 있다. 예타 결과 비용편익비(B/C) 1 이상의 점수를 받아야 하는 관문이 남아 있으나 통과 가능성은 그만큼 높아진 의미도 갖는다.  

전국 17번째 광역자치단체임에도 종합운동장이 없는 문제, 미래 행정수도 위상에 걸맞은 국제행사 유치 등이 불가능한 여건도 설치 타당성을 높이는 대목이다. 

당초

시 재정난이 가중되고 있는 국면에서 전액 국비로 충당하지 못하게된 부분은 아킬레스건이나, 최대 8년 가까이 지연된 흐름을 차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정부도 종합체육시설 건립의 시급성과 구체성을 인정했다.   

그럼에도 아직 넘어야할 산이 숱하다. 1차적으로는 현재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이 수행 중인 에비타당성 검토 문턱을 통과해야하고, 2차적으로 중장기 재원 확보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충청권

이 와중에 악재라 할 수 있는 변수가 또 생겼다. 종합체육시설 건립의 타당성 요인 중 하나인 ‘2030년 아시안게임 충청권 공동 유치’가 최종 무산되면서다. 

현재 구상안이라면 국내 전국체전 뿐만 아니라 국제경기대회 개최 수준에 이를 것이란 분석이었으나, 아시안게임 등 외부적 활용안이 빠질 경우 규모 축소 또는 타당성 점수 하락 소지를 안겨주고 있다.  

올해 말까지 예비 타당성 검토에 돌입한 ‘조세재정연구원’이 어떤 결론을 도출할 지가 관심가는 부분이다. 

일단 관계기관인 행복도시건설청과 세종시는 원안 그대로 통과와 추진을 기대하고 있다. 아시안게임은 부수적 플러스 효과로 고려했던 항목이었지 상수가 아니란 판단에서다. 

기획재정부

행복청 관계자는 “행복도시 건설 자체의 의미와 위상을 중심으로 제대로 된 종합체육시설 건립을 역설하고 있다”며 “기본안 대로 흔들림없는 추진이 필요하다. 그렇게 되면 2025년경 문을 열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세종시의 걱정과 우려는 여전하다. 비용편익비를 통과해도 최근 재정여건상 1500억여 원 사업비 자체가 부담이다. 대평동이 올해 말 예정지역에서 해제될 경우, 지방비 추가 부담 가능성도 제기된다.

현재 콘셉트가 미래형으로 적절한 지에 대한 문제제기도 존재한다. 인근 대전시는 활용가치가 낮은 과거형 공설운동장을 폐쇄하고 돔야구장으로 대체하고 있는 마당이다. 경북 의성 컬링, 강원도 동계스포츠 등 특화 스포츠 시설 유치가 바람직하다는 여론도 만만찮다. 

시 관계자는 “아시안게임 유치 실패가 아쉬운 대목이나 현재 상황에서 콘셉트 변화를 시도하긴 불가능하다”며 “예산 자체는 부담이다. 예타 결과와 상황에 맞는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2025년
시민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