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상가 공실 ing', 여전히 살얼음판

지난해 4분기 30% 대 공실률, 전국 평균 11.7% 크게 웃돌아 겨울철 상권 비수기와 코로나19 등 여파, 앞이 보이지 않는 2020년

2020-02-19     정은진 기자

 

[세종포스트 정은진 기자] "세종시 상가 공실률 대책에 대해 한말씀 해주십시요."

세종시 관련 인사가 지역방송에 나오면 사회자로부터 조건없이 받는 질문이다. 곧 있을 4.15 총선에서 각 당 세종시 예비 후보들의 선거공략 대부분에도 '상가 공실 해결'이 등장하고 있다. 이처럼 세종시 상가 공실률은 여전히 뜨거운 이슈다.

지난해 6월 기준 세종시 상가 공실률은 32%에 달했으며, 특정 동 상가 2곳 중 1곳이 빈 점포일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다. 2018년 2분기 데이터인 35%에 비해 감소한 수치지만, 여전히 높은 공실률을 보이고 있다.

현재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여파로 상권이 더욱 위축되고 있고, 이런 상황이 좀처럼 해소될 기미지 보이지 않고 있다. 몇몇 상가는 경매로도 나오고 있으나, 낙찰가율마저 떨어지거나 유찰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가 공실은 도시 초기 과도기 현상으로도 볼 수 있지만, 세종시의 경우 상업용지 과다 공급, LH 최고가 낙찰제에 따른 고분양가가 고임대료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주된 원인으로도 분석되고 있다. 

지난해 6월 행복청을 비롯한 LH 세종본부, 세종시 등이 대책을 내놨지만, 시장 체감지수는 여전히 싸늘하다. 상업용지 공급 유보와 공공기관 및 기업 등 자족기능 유치 강화, 소비인구 유입, 소상공인 지원 담당 조직 신설 등 합동 대책이었으나, 실효성 역시 물음표가 따라 붙는다.

당초부터 상가 공급이 적게 설계된 지역을 다시 축소시키는 눈먼 해법으로 해당 생활권 시민들의 불만을 낳기도 했다. 세종시 주요 인터넷 커뮤니티에선 "작년에 매입한 상가가 오랜기간 공실이다, 상가 공실률이 많다고 해서 세종시로 이사가기가 두렵다, 쇼핑하거나 밥을 먹을땐 타지역으로 가서 해결한다"는 말 또한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시청이나 행복청등 관공서가 밀집된 곳의 상가 사정은 다르다. 다른 생활권에 비해 대형 관공서가 밀집되어 있는 곳은 상가가 활성화되어 있어, 해당 공직자들과 주민들은 큰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수도 있다는 인식도 있다. 

그래도 생활권마다 관공서와 유치 기업의 균등 배분을 꾀했다면, 자연스레 상가 활성화로 이어지고 생활권마다 자족기능이 높아졌을 것이라는 시민들의 볼멘소리는 여전하다.  

이제라도 비어있는 상가에 소규모 기업 유치 등을 활성화하고 외부로 떠나는 소비층을 세종에 묶어둘 만한 요소를 분석, 폭넓은 업종 유치와 다양한 세대 전입 유도가 중요해졌다. 상권 활성화 시점까지 광고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눈에 띈다. 

착공과 완공의 중간에서 안정기로 나아가고 있는 세종시, '아파트 분양 완판 신화'의 밝은 슬로건 아래 어두운 이면으로 공고하게 자리잡은, '상가 공실의 현재'를 프레임 세종에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