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m에 신호등만 5개’, 세종시 교통 최적화 해법 없나?

인구 목표 40% 돌파, 벌써부터 ‘가다서다’ 반복… 해법은 있으나 체계적 관리·운영 부재 원인

2018-11-23     이희택 기자

[세종포스트 이희택 기자] “학교 인근이란 특성이 반영된 면이 있으나, 집산도로(말단 기능) 800m 구간에 신호등만 5개.”

“아파트 출입구에 신호 교차로가 설치되면서, 주차장 출입구 안쪽 깊숙이 차량 대기행렬이 발생하는 진풍경.”

“교통량이 없음에도 신호운영으로 불필요한 지체 초래.”

“갑자기 줄어든 한 차선 회전교차로로 인한 충돌 위협.”

“주기적인 교통 데이터 조사와 결과값 반영이 없다보니, 신호등 연동(연속진행)이 안되는 구조 양산.”

인구 20만명 돌파로 목표치의 40%를 넘어서 세종시 행복도시. 벌써부터 교통문제가 세종시민들의 제1민원으로 부각되고 있다. 비좁은 도로폭과 과도한 신호등 설치 등으로 인한 ‘가다서다’ 반복은 어느덧 일상이 됐고, 시민들의 불만은 커져만 갔다.

해법은 존재했으나, 체계적인 관리와 운영이 부족해 최적의 교통상황으로 나아가지 못했다. 한국교통연구원이 최근 분석한 자료를 보면, 더욱 객관적인 수치로 확인 가능하다.

실제 왕복 4차로 이하 중·소로가 66.5%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보행자에겐 유리하나 운전자에겐 답답한 느낌을 주고 있다.

신호 현시(색깔등 변환)의 62%가 4현시 이상이고, 평균 신호주기가 100초 이내인 유럽 주요도시 간선도로와 달리, 서울 대로·광로와 유사한 136초에 이르다보니 지·정체 체감도는 높았다.

짧은 구간에 신호등 교차로가 다수 존재하고, 교차로간 연속 진행도 원활치 않은 점도 불편 요소로 부각됐다. 여기에 단속이 소홀한 간선도로 또는 보조 간선도로 내 불법주차라도 있으면 소통은 더욱 어려워졌다.

아파트 단지 입구 앞 좁은 골목에 신호교차로나 신호등이 설치돼 주차장 안쪽까지 차량 대기행렬이 이어지는 경우도 자주 발생하고 있다.

교통연구원은 ▲교통량 감응 제어 시스템 확대 보급 ▲주기적인 교통신호 최적화 사업 추진 ▲비보호 좌회전 확대 ▲혼잡한 상가지역 중심으로 일방통행제 우선 시행 ▲STOP Sign 도입 ▲아파트 정문 앞 초소형 회전교차로 등 설치 확대 등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일례로 도담고 앞 교차로에 신호주기만 바꿨더니, 서비스수준(LOS)은 C에서 B로 향상됐다. 평균 지체시간이 1대당 47.3초에서 25.1초로 줄었다. 이곳에 회전교차로를 도입하면 더욱 좋은 결과가 나왔다. LOS가 C에서 A로 올라갔고, 지체시간은 7.3초로 더욱 나아졌다.

교통 정책이 좀 더 체계적으로 추진된다면, 좀 더 원활한 교통 여건이 창출될 수 있음을 보여준 대목이다.

오재학 교통연구원장은 “여기저기 흩어진 자료를 수집해 마련한 정책은 일관성도 없고 ‘장님이 코끼리 만지기’ 식 밖에 안된다”며 “세종시가 예산을 투입해 데이터 조사를 정례적으로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행복도시 교통 개선 대책’을 총괄하는 행복도시건설청은 현실적 어려움을 언급했다.

연구원이 예를 제시한 ‘800m 사이 신호등 5개’는 학교 주변이다보니 학생들의 보행권 보장 민원과 충돌이 발생한 결과란 설명이다. 조만간 이에 대한 개선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미 세종시와 교통연구원, 도로교통공단, 경찰서가 TF팀으로 참여하는 ‘신호 최적화’ 회의가 월 또는 격월 1회 개최되고 있고, 문제가 있는 도로 개선을 그때그때 반영하고 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중·장기 교통정책 방향을 수립하기 위한 별도 용역 추진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대중교통중심도시 콘셉트에 부합하는 버스 및 자전거와 보행 중심의 교통환경 조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다. 운전자 입장을 고려한 교통 여건 최적화는 현재 주기적인 회의로도 충분히 개선 가능하다는 판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