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세종시 대중교통수단, 트램이 대체할까?

세종~대전 연결하는 광역철도 타당성 용역 착수… 내년 초 결과 발표, 대중교통 지각변동 예고

2018-03-07     이희택 기자

[세종포스트 이희택 기자] 미래 세종시 대중교통의 핵심 수단은 무엇이 좋을까. 현재는 전용도로를 확보한 비알티(BRT)가 대중교통 대표 모델로 자리잡고 있다.

7일 세종시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에 따르면, 2020년 이후로는 100인승 비알티가 현재 45인승 시앤지(CNG, 천연가스버스) 모델을 대체할 것으로 보인다. 100인승 비알티는 행복청과 세종시가 지난 2013년부터 ‘도로 위 지하철’로 구상한 모델이다.

내년 하반기 4대를 시작으로 2023년경 12대까지 행복도시에 투입될 예정이다. 지하철 건설에 천문학적 비용이 소요되는 만큼, 비알티가 상당 기간 지하철 대체 수단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다.

경전철(전기)과 중전철(지하철), 노면전차(지상철), 트램 등 신교통수단도 서서히 수면 위로 부각되고 있다.

민선 1기 시절 발표된 '2030 세종시 도시기본계획'에 경전철 안을 담은데 이어, 2기 들어 본격적인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지난해 1월 출범한 대전‧세종연구원의 첫 번째 정책연구과제로 ‘대전도시철도 연장안’이 채택됐다. 지난해 8월까지 2700만 원의 용역비를 투입했다. 대전 도시철도 반석역에서 세종시외·고속버스터미널(대평동)까지 9.7km 구간이 대상이다.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세종~대전간 2020년 1일 교통량은 2014년 8만 8531대에서 16만 3793대로 2배 가까이 급증할 것으로 예측됐다. 대전~세종 연결도로(왕복 8차선)는 벌써부터 출·퇴근 시간대 지·정체 현상을 보이고 있다. 2020년 용량 대비 교통량도 포화상태를 넘어설 전망이다.

결국 2020년 이후 대량 운송이 가능한 ‘광역철도’ 도입 필요성이 부각됐다. 시가 후속작업에 착수한 이유다. 내달 2억 1000만 원을 투입, 반석역~세종터미널 구간을 연결하는 ‘광역철도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을 발주키로 한 것. 대전·세종연구원이 수행한 정책과제와 연계해 추진할 방침이다.

용역기간이 8개월인 점을 감안하면, 내년 초 용역 결과가 공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모델과 노선, 도입시기 등이 이때 구체화된다는 얘기다.

세종시는 타당성 검토 결과를 내년 3월 착수되는 국토교통부 주관 ‘국가철도망 구축계획(4차)’에 반영할 계획이다. 국가계획에 포함되면, 국비 70% 지원을 받을 수 있어 사업추진이 용이해진다.

반석역~세종터미널을 지나 서창역까지 이어지는 28.5km 구간은 중·장기 사업(사업비 3조여원)으로 추진하겠다는 게 시의 복안이다. 현재 천안까지 연결된 수도권 전철이 충청권 전역으로 확산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국가균형발전과 충청권 동반 성장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논리 개발에도 나설 예정이다.  

결국 올해 말까지 진행할 타당성 용역 검토가 중요해졌다. 

일각에서는 트램이 지난 달 28일 도로교통법 개정과 함께 도로 위 교통수단으로 인정받으면서, 비알티를 대체할 것이란 분석도 내놓고 있다. 전용도로 위를 달리기에 최적의 수단이란 의견이다.

시 관계자는 “광역철도 구축 사업이 순탄하게 진행된다면, 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이 고시되는 2021년 6월 이후가 될 것”이라며 “향후 2년 내 대중교통 핵심 모델이 크게 변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016년 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는 조치원~신탄진을 연결하는 22.5km 구간이 포함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