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댓글
변상섭, 그림속을 거닐다
세종시교육청 공동캠페인
위험천만 넘어진 '크레인' 일주일째 방치, 이유는
상태바
위험천만 넘어진 '크레인' 일주일째 방치, 이유는
  • 정은진 기자
  • 승인 2020.07.28 10: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종시 집현동(4-2생활권) 한 종교시설 건축 부지에 쓰러진 채 하세월
도시 브랜드 이미지 퇴색, 2차 안전사고 우려... 운전자 조작 미숙 원인 판단
건설현장과 운전자간 합의 부재로 견인 안돼... 28일 견인 여부 고비
세종시 신도시 집현동(4-2생활권) 한 종교시설 건축 부지에 이동식 크레인이 위험천만한 상태로 쓰러져있다. 

[세종포스트 정은진기자] 세종시 집현동(4-2생활권)의 한 종교 건축물 신축 현장에서 이동식 크레인이 위험천만한 상태로 방치되고 있다.  

본지 확인 결과 지난 20일 공사에 투입된 크레인이 27일까지 건축물 외벽 앞에 그대로 쓰러져 있었다.

관계 기관에 따르면 기사의 운전 미숙에서 비롯된 사고로 파악됐고, 붐대를 너무 길게 빼면서 전도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행이 인명과 건축물 피해는 없었지만, 현장에서 쓰러진 크레인이 사후 안전 관리 미흡 우려를 낳고 있다. 또 이곳을 지나는 시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사고현장은 사고 시점 그대로 방치되고 있어 2차 안전사고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사고현장, 왜 방치되고 있나"

쓰러진 크레인이 그대로 방치되는 것은 드문 일이다. 넘어진 후 견인차가 투입되는 등 곧바로 후속 조치가 되지만 일주일 넘게 방치되고 있는 것.

행복청 관계자는 "지난 주에 장비가 넘어졌다. 다행이 인력 문제는 없었고 현재 세종시에서 조치를 하고 있다. 작업 중에 전도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넘어지면 빨리 조치를 해야 하는데 시공사와 기사 분간 합의가 안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합의가 된 다음에 수리를 맡기기로 했다. 현재 정확한 경위는 조사 중이다. 자세한 사항은 시청 건축과에 문의해 달라"고 밝혔다.

시 건축과 관계자는 "관리 현장 소장과 통화했는데, 크레인 기사가 이동식 크레인의 붐대를 너무 길게 빼서 전도됐다. 현재 사고처리를 했고 인계되는 차량을 기다리고 있다. 또한 곧 국토부에 보고 예정"이라고 해명했다.

시 관계자는 "현장에 물적, 인적 피해는 없다. 다만 크레인 피해에 대해선 기사의 운전미숙이라 운전사 보험으로 처리되어야 하는데 크레인 기사와 합의를 해야 할 것 같다. 현장에서 보상을 해줄 것인지 자체 보험을 해야 할 것인지 판단 중이다. 사고 크레인 차량의 견인은 오늘 진행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본지는 이어 현장 사무소 의견도 들었다.

현장 관계자는 "이게 넘어진 그대로 모습이다. 건설 현장에 노조가 껴있어서 수리비를 끊어와 현재 협상 중에 있는데 사고 난 현장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것이다. 사고가 나면 사고차량 제거 작업을 해줘야 하는데 협상을 해야하니까 그냥 이렇게 두고 있다. 현장에선 보상 의무가 없다"고 말했다.

28일 차량 견인 여부에 대해서도 물음표를 달았다. 그는 "오늘 (견인) 협상을 하는 것이지 견인차가 오는 것은 아니다"란 다른 의견을 내보였다.  

사고 현장은 현재 빨간 노끈으로 띠를 둘러 안전 펜스로 둘러싸여 있으나, 일부는 강풍에 유실됐다. 긴 장마로 인해 땅이 물러진 상황이라 이대로 두면 2차 피해가 생길 수도 있어 보였다. 

위태롭게 방치되는 사고 현장은 도로변과 거리가 있지만 수많은 건설 근로자들을 비롯해 4-2생활권에 입주 예정자들도 집을 보기위해 드나들고 있어 2차 안전사고 우려가 남아 있다. 

본지 확인 결과 이동식 크레인 기사와 현장 간의 사고 원인 합의가 이루어 지지 않아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소형 크레인 넘어지면 인명사고로 이어지는 일 빈번해. 소형 크레인의 안전 규정 또한 미흡"

이동식 크레인이 넘어지면 인명피해가 다수 발생하는 대형 사고로 이어진다.

전국적으로 소형 크레인 사고는 2015년 이후 약 45번 발생했고, 올해는 9건 정도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올 초에는 인천 송도 신축 건물 공사현장에서 소형 크레인이 무너지며 안타까운 2명의 사망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세종시의 소형 크레인 사고는 비단 크레인 기사의 운전 미숙에서만 비롯된 것일까.

최근 노동계는 소형 크레인에 대한 국내 안전 규정이 유럽에 비해 허술한 수준으로 보고,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며 제도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 6월 1명의 노동자가 숨진 평택 크레인 사고 현장에서 노동계는 "아직도 설계도가 없는 출처 불명의 소형 크레인이 600대 가까이 현장에 있다. 설계도 대로 장비가 만들어 졌는지 정부는 제대로 점검하지 않는다"며 규탄하기도 했다. 

또한 크레인 글로벌 인증체계는 지난해 6월 크레인 노동자들이 국토교통부와 합의해 도입됐으나, 소형 크레인은 글로벌 인증 체계가 전무한 상황.

노동계는 "안전 기준이 엄격한 유럽에서 주로 수입하는 대형 크레인과 달리 소형 크레인은 국내와 중국에서 주로 제작한다. 안전 기술이 허술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대형 크레인에 비해 소형 크레인은 자격취득 조건이 까다롭지 않아 건설 현장에 도입이 늘고 있으나 크고 작은 사고를 빈번이 발생시키고 있다. 

최근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기시험을 진행하고 일정시간 교육 이수를 해야 면허 발급이 되는 것으로 자격시험을 강화했다.

이와 함께 크레인의 부품인증제 적용 대상 품목을 확대해 불량부품 사용을 막는 등 개선 노력을 하고 있지만 안전사고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는 현실이다.

세종시 신도시는 행복도시가 완성될 시점인 2030년까지 앞으로 10년간 대·소형 크레인을 이용해 건설을 해야하는 만큼, 이번 사고가 안전사고 방지에 반면교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