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댓글
변상섭, 그림속을 거닐다
세종시교육청 공동캠페인
코로나 여파, ‘국립중앙의료원 최적지=세종시’ 급부상 
상태바
코로나 여파, ‘국립중앙의료원 최적지=세종시’ 급부상 
  • 이희택 기자
  • 승인 2020.03.19 20:22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3년간 추진해온 서울시 원지동 입지 완전 무산… ‘세종시 5생활권’ 입지 요건 갖춰  
감염병 컨트롤 트윈타워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인접성도 부각    
국립중앙의료원 이전 대상지로 검토 가능한 세종시 5-2생활권 의료용지 전경. 햇무리교에서 청주 방향으로 월산교를 지나자 마자 좌측편에 위치하고 있다.
국립중앙의료원 이전 대상지로 검토 가능한 세종시 5-2생활권 의료용지 전경. 햇무리교에서 청주 방향으로 월산교를 지나자 마자 좌측편에 위치하고 있다.

[세종포스트 이희택 기자] 지난 2006년 행복도시건설청 개청 당시부터 물망에 오른 ‘국립중앙의료원’의 세종시 이전. 사업시행주체인 보건복지부가 지난 2005년 신축 이전 결정을 하면서다. 

물론 유리한 고지는 서울시가 먼저 밟았다. 2010년 MB정부 당시 양해각서 체결과 함께 2014년 협약으로 원지동 이전을 가시화했다. 2016년 12월 매매계약 체결 및 계약금 집행, 2018년 총사업비 조정 과정을 거치면서, 세종시행 가능성은 사실상 제로로 떨어졌다. 

예상치 못한 변수가 서울 원지동 이전의 발목을 잡았다. 전략환경영향평가 결과 ‘소음 이격거리’ ‘야생 동물보호구역 설정 등축’ ‘소음환경 기준’ 모두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걸림돌 해결을 위해선 방음터널 설치가 필요하나 2000억 원 이상의 천문학적 비용을 수반했고, 경부고속도로와 이격거리를 55m에서 140m로 넓히면 부지면적이 71%로 축소되는 난제가 나타났다. 

서울 중구 을지로 국립중앙의료원 전경. 

결국 중앙의료원은 지난해 9월 ‘원지동 사업 이전 불가’ 입장을 표명했다. 2003년 서울시와 협의를 거치며 16년간 행정력 낭비만 되풀이한 셈이다. 더욱이 해당 지역은 서울 강남‧분당구와 인접한 의료 공급 과잉지역이기도 했다. 

그 사이 세종시 이전 필요성은 뜻하지 않은 일로 급부상했다. 지난 1월 20일 코로나19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국가 비상사태에 대응하는 보건의료 컨트롤타워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2개월이 지난 19일 0시 기준 코로나 확진자는 8565명까지 늘었고, 사망자는 91명으로 집계됐다. 

중앙의료원 이전 논의가 시작된 2003년 ‘사스’, 원지동 이전 가시화 후 이듬해인 2015년 ‘메르스’ 사태가 중앙의료원의 조속한 이전을 견인했다면, 코로나19 확산이 세종시 이전 타당성 근거로 등장했다.

더욱이 중앙의료원에 중앙감염병 병원 구축사업이 결합된 ‘현대화 구상’이 코로나19와 정확히 매칭되고 있다.

권역별 감염병 전문병원 신축은 물론이고, 중앙의료원 내 제1감염병 전문병원 마련이 더 큰 명분을 얻기 시작했다.

국립중앙의료원은 부지면적 6만 7126㎡, 연면적 11만 712㎡에 600병상, 중앙감염병 병원은  부지 2만 7857㎡, 연면적 3만 4709㎡에 100병상 규모를 필요로 한다. 총사업비는 각각 4415억 원, 1294억 원 등 합계 5709억 원이다. 

현재 서울 을지로 소재 중앙의료원 매각비용(4971억 원) 대비 738억 원 부족한 사업비다. 

2023년 건립 목표시기에 이 정도 사업비 규모라면, 정부 차원의 ‘세종시 입지 전격 결정’은 의지의 문제로 귀결된다. 

응급과 중증외상, 재난의료, 감염병 관리 등 국가 공공의료 총괄기관인 중앙의료원이 국토의 중앙부인 세종시 그리고 정부세종청사와 인접한 입지에 들어서는 그림은 기분좋은 상상에 그치지 않는다. 

무엇보다 코로나19 사태의 중심에  선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세종시와 지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중앙의료원이 재난 상황에서 신속하고 유기적인 대처를 가능케 한다.

가뜩이나 수도권 원정 의료가 성행하는 분위기에서 ‘의료 인프라의 균형적 배치’란 기대효과도 안고 있다. 지방 대학병원의 전문화와 특성화를 지원하고, 지역과 계층을 넘어 의료불평등을 해소한다는 의료원 비전과도 맞아 떨어진다. 

국립중앙의료원 비전은 국가균형발전과 수도권 과밀해소, 지방분권 가치를 실현하는 세종시와도 잘 맞아 떨어진다. 

현재 세종시에는 최적 부지도 충분히 갖추고 있다. 바로 의료기능으로 특화된 5생활권이다. 현재 합강리(5-1생활권) 의료용지는 2만 9911㎡로 중앙의료원 수용은 어려워 보인다. 스마트시티 시범지역 특성에 맞는 원격 의료 구현 기능이 들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6만㎡ 이상 부지 활용이 가능한 5-2생활권이 고려할 만한 입지로 평가된다. KTX 오송역과 차량 이동거리가 15분 이내고, 남청주IC와 12분, 남세종‧정안IC와는 23분 이내 거리다. 

세종시 5생활권 의료특화 기능을 안고 있다. 지도상 1번과 2번이 의료용지로 일찌감치 반영된 상태다.
세종시 5생활권 의료특화 기능을 안고 있다. 지도상 1번과 2번이 의료용지로 일찌감치 반영된 상태다.

행복청 관계자는 “현재 미개발 지역인 5생활권 의료용지에 부지 면적은 얼마든지 개발계획 변경으로 반영 가능하다”며 “행복청 개청 초기 이전을 고려했던 ‘국립중앙의료원’ 기능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국립중앙의료원 관계자는 ”원지동의 부적격 판정에 따라 이전 계획 추진이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고, 그 사실관계는 여전히 유효하다“며 ”지난해 말부터 사업 주관기관인 복지부와 서울시 의사결정만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답변했다. 

이어 ”감염병 전문병원에 관한 다양한 사회적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는 걸 잘 알고 있다“며 ”새 입지로 이전하면, 중앙의료원 내 별도 건물로 들어서게 된다“고 덧붙였다. 

결정의 키는 역시 보건복지부와 서울시에 달려 있다. 

복지부 공공의료과 관계자는 “서울시와 협의를 지속하고 있다. 현재 상황에선 중앙의료원 이전위치를 분명하게 결정할 단계는 아니다”라면서 “서울시는 부지매매 계약과 함께 중도금집행을 마무리한 것으로 안다”며 현실적 어려움을 전했다. 

그렇다 하더라도 코로나19가 수습 단계에 이르면, ‘세종시 입지 선회’ 가능성은 충분하다. 코로나19가 가져다준 명분과 타당성이 차고도 넘쳐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곽동철 2020-03-21 19:04:14
지역차원보다는 국익차원에서 국립중앙의료원 이전 문제가 다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이미 행정중심도시인 세종시의 관문인 오송역 지역에 질병관리본부, 국립의과학지식정보센터, 유전공학 관련 대학, 연구소, 기업 등이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는 만큼 국가차원의 시너지 효과를 올릴 수 있도록 정책 결정 및 집행이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입니다.

옵저버 2020-03-20 19:41:27
좋은 제안이라 생각됩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