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댓글
변상섭, 그림속을 거닐다
세종시교육청 공동캠페인
세종시 아파트 ‘19개 단지’, 라돈 위험 노출 
상태바
세종시 아파트 ‘19개 단지’, 라돈 위험 노출 
  • 이희택 기자
  • 승인 2019.10.02 15:00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의당 이정미 의원, 국정감사서 위험 자재 사용 단지 공개… 전수조사 필요성 강조 
신규 아파트가 많은 세종시의 라돈 위험성은 실제 얼마나 상존할까. 간이 측정기 대여에만 최대 100일이 걸리는 등 관심은 높으나 정확한 실태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 
신규 아파트가 많은 세종시의 라돈 위험성은 실제 얼마나 상존할까. 간이 측정기 대여에만 최대 100일이 걸리는 등 관심은 높으나 정확한 실태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 

[세종포스트 이희택 기자] 세종시 아파트 60개 단지 중 라돈 검출 위험성을 안은 곳이 19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4년부터 올해 현재까지 준공된 아파트를 대상으로 실내 마감재를 조사한 결과다. 라돈이 검출된 자재를 사용한 단지가 약 1/3(31.7%)을 차지했다. 세종시는 행복도시 기준으로 2011년부터 2019년 하반기까지 100여개 단지에 걸쳐 약 9만세대 입주를 앞두고 있다.   

정의당 이정미(비례) 국회의원이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 같은 현주소가 드러났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지자체로부터 넘겨 받은 ‘공동주택 실내마감재 사용현황’을 분석한 결과다. 

★ 세종시 아파트 ‘라돈 위험성’, 전국 4위 

신규 아파트가 많은 세종시의 위험성은 전국 평균치인 19%를 훌쩍 뛰어 넘었다. 전국적으로는 1696개 단지에 걸쳐 326개소가 위험 자재를 썼다. 

또 다른 지역에선 강원이 63.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천(61.3%)과 충남(38.8%), 세종(31.7%), 부산(30.4%), 울산(27.6%), 대전(16.6%), 경남(12.4%) 등이 뒤를 이었다. 전북(3.3%)과 대구(6.4%), 경북(8%), 광주(8.5%), 서울(9.2%) 등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해당 자재는 ▲최근 건설사와 입주자대표회의간 라돈 검출 갈등을 유발한 마감재 ▲라돈 검출 수치가 다른 자재보다 높다고 보여지는 마감재를 말한다. 다만 위험 자재가 사용됐다고 실내 공기 질이 반드시 라돈 기준치를 넘어선다고 볼 수는 없다.  

이 의원은 이로 인해 1인당 연간 자연방사선량인 3밀리시버트(mSv)를 초과할 수 있다고 봤다. 사람의 신체 내외부에 피폭하는 방사선량을 모두 합한 양이다. 

기준치를 초과하면, 생활주변 방사선 안전관리법에 따라 해당 물품 수거 등 행정조치를 해야한다. 지난해 5월 대진침대 회수 등 대표적 조치도 제시했다. 

★ 이정미 의원, “정확한 진단위한 전수조사” 촉구 

정의당 이정미 국회의원이 라돈 안전성 입증을 위한 아파트 전수조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정의당 이정미 국회의원이 라돈 안전성 입증을 위한 아파트 전수조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정미 의원은 “최근 환경부의 건축자재 라돈 관리방안 연구용역 결과, 일부 건축 마감재 바사능 농도가 기준치에 근접한 것이 확인되는 등 공동주택 내 인위적 방사능 노출 차단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부처와 지자체, 보건환경연구원 공동으로 공동주택 전수조자 등 다각적인 라돈관리체계를 시급히 구축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전수조사 필요성은 국민 불안감 해소에서 찾았다. 

★ 세종시 불안감 여전, 측정기 대여에만 최대 100일 

한번 대여에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는 라돈 간이 측정기.
한번 대여에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는 라돈 간이 측정기.

실제 세종시의 경우, 지난해 12월 실내 라돈측정기 대여 첫날부터 13.6대 1을 기록하는 등 시민들의 관심도는 매우 높은 편이다. 전국에서 가장 젊은 도시이자 아이들이 많은 영향 탓이다. 

최대 대기일이 한 달 이상 소요되는 경우도 많았다. 관심도는 읍면지역보다 신규 아파트가 많은 동지역에 집중된 현상도 드러냈다. 

현재도 읍면동 전체 평균 대기일 약 60일, 동지역은 100일을 넘도록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다. 세종시가 보유 중인 간이측정기 활용세대는 이제 830세대를 넘어섰을 뿐이다. 시 역시 대기일이 너무 지체되는 점을 감안, 올해 30대에서 내년엔 추가로 19대를 투입할 계획이다. 

지구의벗 세종환경운동연합이 이 즈음 진행한 행복도시 아파트 3개 단지 23세대 조사 결과도 불안감을 더욱 키웠다. 

세대별 침실 및 화장실, 거실, 아이방을 비롯해 단지 내 어린이집과 휘트니스센터, 회의실, 지하주차장 등 모두 69개 기점을 측정했다. 

그 결과 4세대 4개 지점에서 기준치를 초과했고, 6개 지점이 기준치에 접근한 것으로 분석됐다. 예상대로 대리석을 시공한 화장실과 신발장에서 수치가 높게 나타났다.

조사 범위를 확장할 경우, 라돈 기준치 초과 세대가 더욱 늘 수 있는 개연성을 보여준 셈이다. 

시 관계자는 “실내공기질 외 자재 기준이 명확치 않아, 시 단독으로 전수조사 등 실효적 조치를 하기가 어렵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지난해 1월 1일 이후 사업계획을 승인받은 주택에 한해, 입주 전 라돈 등을 포함한 실내공기 측정이 가능해졌을 뿐이다. 입주예정자들에게 정확한 실태가 전달되는 만큼, 건설사의 시정 조치가 뒤따를 것으로 예상되는 수준이다. 

★ 라돈 위험성 기준과 대여 방법은 

한편, 현재 국내 라돈수치 권고 기준은 다중이용시설 148Bq/㎥(4Pci), 신축 공동주택 200Bq/㎥(5.4Pci)이다. 

라돈 측정기 신청은 시 홈페이지(www.sejong.go.kr)이나 각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해 할 수 있다. 대전 소재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내 생활방사선 안전센터(www.kins.re.kr, 1811-8336) 신청도 활용해볼만 하다. 

라돈은 우리가 사는 집 안에서 노출될 수 있는 방사선 물질로, 토양과 암석, 건축자재 등에서 자연발생한다. 비흡연자가 노출되도 폐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고, 색과 냄새, 맛이 없는 기체 형태로 공기보다 약 8배 무겁다.

최근에는 침대 매트리스, 라텍스, 대리석 등 생활용품에서 기준치 이상의 라돈이 검출되면서 생활 속 방사선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실내 공기 중 라돈농도가 높으면 주기적인 환기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송진석 2019-10-04 04:57:20
전수조사후 리스트를 공개해야한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