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댓글
변상섭, 그림속을 거닐다
세종시교육청 공동캠페인
세종시 종합운동장 ‘과거형 답습’, 시민 바람과 역행
상태바
세종시 종합운동장 ‘과거형 답습’, 시민 바람과 역행
  • 이희택 기자
  • 승인 2019.02.26 11: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리즈 上] 오는 4월 마스터플랜 재수립 용역 발표… '시민 이용형' 콘셉트로 변경 필요성 제기
현재 대평동 소재 아파트 견본주택(모델하우스) 구역으로 활용되고 있는 종합운동장 부지 전경.

[세종포스트 이희택 기자] 1988년 서울올림픽 메인 경기장으로 사용된 ‘잠실종합운동장’ 메인스타디움, 1986년 서울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 축구 종목 예선 경기가 열리고 2009년 제90회 전국체전 메인 경기장으로 쓰인 ‘대전 공설운동장’. 

전국 주요 종합운동장은 육상과 축구 등의 주요 엘리트 종목 경기 소화가 가능하고, 시민체전 등 지역 자체 대규모 집합행사 개최지로 자리매김해왔다. 평소에는 엘리트 체육 선수들의 훈련 공간으로도 활용된다. 수십년간 전국 16개 시·도와 주요 시·군에 줄이던 설치된 인프라 시설들이기도 하다. 

세종시가 조만간 그 대열에 합류하려고 한다. 오는 4월까지 대평동 종합운동장 마스터플랜 용역을 끝마치고, 정부의 예비타당성 검토 과정에 나설 예정이다.

2006년경 행복도시 최초 설계 당시 2017년 완공 목표로 계획됐으나, 정부는 5000억여원에 달하는 사업비 부담 주체를 놓고 집행을 망설였다. 결국 완공목표 시기는 어느덧 2025년까지 미뤄졌다. 콘셉트는 기존 도시와 별다른 차이가 없다. 

과연 대다수 시민들은 과거형을 답습하는 종합운동장을 원할까. 본보는 상, 하 2차례에 걸쳐 ‘과거형 종합운동장 콘셉트, 이대로 좋은가’ 시리즈를 다뤄본다.

<글 싣는 순서>

상. ‘과거형 종합운동장’ 답습, 시민 의사와 역행 
하. ‘미래형 스포츠 콤플렉스’ 도입, 내실화 절실

2013년 이미 끝낸 ‘마스터플랜 용역’, 지연 거듭 

2013년 이미 실행된 종합운동장 마스터플랜 안 예시. (제공=세종시)

행복도시건설청은 지난 2013년 종합운동장 마스터플랜 용역을 이미 끝마친 바 있다. 당시 (재)한국산업관계연구원이 참여했다.

용역은 2년 4개월간 4213억여원을 투입, 대평동 17만 8618㎡ 부지에 주경기장 2만5000석(증축 가능형) 및 보조경기장, 실내체육관 5000석, 주차장, 상업시설 건립안을 제시했다. 비용편익비(B/C)는 1.22로 집계됐다. 생활체육 공간이자 전국체전 등 각종 체육경기 유치 메카로 활용하겠다는 비전도 제시했다. 

기획재정부는 지속적으로 이를 반려했다. 행복도시건설청이란 중앙정부와 세종시란 지방정부간 예산부담 주체를 놓고 해석을 달리했다. 한 도시의 가장 기초적인 시설인 만큼, 행복청과 세종시 모두 중앙정부 부담에 무게를 실었으나 기재부는 사업비 매칭을 원했다. 그 결과 사업은 계속 지연됐다. 

2017년부터 시민들이 누려야 마땅했던 시설이 2019년이 지나도록 첫 삽을 못 뜨고 있는 현실이다.

2019년 다시 짜는 ‘마스터플랜’, 사업규모 반토막 

행복청과 세종시는 지난해 12월 5000여만원을 들여 ‘세종시 종합체육시설 마스터플랜 재수립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오는 4월까지 큰 틀의 종합운동장 설립안을 다시 제시한다.

일단 방향은 2025년까지 11만 709㎡ 부지에 주경기장과 보조경기장을 우선 건립하는데 맞췄다. 실내체육관은 나머지 6만 7909㎡에 장기 사업으로 계획하고 있다.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검토를 통과하기 위해 ‘사업 축소’로 가닥을 잡았다.

전체 예산도 사실상 반토막이다. 2000억원 대 예산을 투입하는데, 행복청과 세종시가 각각 6(건축비) 대 4(부지매입비)를 분담키로 했다.

시는 마스터플랜 용역이 끝나는 대로 정부의 예비타당성 검토를 신청, 내년 4월 이후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구상하고 있다. 완공시기는 2025년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정부의 예비타당성 검토 면제 사업에도 포함되지 않으면서, 사업 추진은 더딘 흐름을 지속하게 됐다.

과거형 종합운동장 콘셉트, 사업 축소 원인의 하나 

종합운동장 위치도. 사진상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맞은편 파란색 부분이 종합운동장 1단계 대상지. 행복청과 시는 일단 이곳에 주경기장과 보조경기장 우선 설치를 구상하고 있다.

세종시 종합운동장 사업 축소와 지연 배경에는 일단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축소 기조가 계속 되는데서 1차적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근본적으로는 종합운동장 콘셉트가 사실상 과거형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란 분석도 나온다. 타 시·도만 놓고 보더라도, 시설 활용도는 크지 않은 게 사실이다.

20년에 한번 열릴까 말까한 전국체전, 1년에 한번 열리는 시민체전, 100년에 한번 유치할까 말까한 올림픽과 아시안게임, 유니버시아드 대회 개최를 위한 용도로는 예산 투입 대비 효용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인근 대전의 경우도 지난 2009년 제90회 전국체전을 개최하면서 시설 리모델링을 진행했으나, 10년이 지난 현재 엘리트 체육 선수들의 훈련 공간 외 활용성은 높지 않다. 한밭야구장 외에는 여전히 시민 친화적 시설로 거듭나지 못하고 있다는 시선이 많다.

특색없는 운동장을 세종시에 똑같이 지으려는 시도는 정부 입장에서도 낭비 요소로 비춰지고 있다.

현재 콘셉으로는 지역경제활성화와 외부 방문객 유치 등의 효과도 기대하기 어려운 양상이다. 이해찬 국회의원이 지난 2016년 총선 당시 공약에 종합운동장 대체 시설로 ‘스포츠콤플렉스’를 제안한 이유도 여기에 있었다.

이춘희 시장 역시 마스터플랜 용역 착수 전까지만 해도 “100년에 한번 열릴까 말까한 전국체전을 위한 종합운동장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정례 브리핑에서 밝힌 바 있다.

세종참여연대 관계자는 “종합운동장은 더 많은 시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지역 상권과 동반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개발계획 수립이 필요하다”며 “체육 경기만이 아니라 문화와 예술, 공연, 여가가 한데 어우러지는 시민밀착형 열린 공간의 탄생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2000억원대 예산, ‘시설 기대효과’는 크게 반감 

지난 2015년 9월 완공된 서울 고척스카이돔 전경. 총사업비는 3000억원 대로 세종시 종합운동장보다 낮은 규모로 분석됐다. (제공=서울시설공단)

행복청과 시는 일단 정부의 예비타당성 검토 통과를 위해 사업규모를 축소한 상태다. 2021년 상반기 개관이 예상되는 아트센터 경험을 고려한 모양새다.

정부는 지난 2014년 개관을 앞둔 아트센터에 대해 대공연장 700여석으로 개관할 것을 주문한 바 있다. 700여석은 정부세종청사 대강당과 조치원읍 세종문화예술회관 규모로 뮤지컬 등 수준높은 대공연 유치가 불가능한 수준이다.

행복청과 시는 중·소공연장 건립을 미루는 대신, 대공연장 1200석만 갖춘 시설로 예비타당성 검토를 통과한 바 있다. 그 사이 사업은 7년이나 지연됐다. 

종합운동장 건립안 역시 동일한 전철을 밟고 있다. 주경기장과 보조경기장만 덩그러니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2025년 완공 목표를 감안하면, 이마저도 8년이 늦어졌다. 실내체육관과 복합 상업·편의시설 도입 시기는 가늠할 수 없다.

더욱이 2000억원 대 예산으로는 도시 핵심 기반시설의 정상 가동은 불가능하고, 건립 기대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서울 고척돔구장(총사업비 3504억원)처럼 사계절 이용이 가능하고 야구 뿐만 아니라 주변에 풋살과 수영, 축구, 헬스, 농구 등 다양한 스포츠 수요를 수용할 수 있는 시설로 방향을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고척돔에선 대형 공연도 상시적으로 열린다.

시민사회 관계자는 “SOC 사업 축소 기조라고는 하나, 전국적인 예타 면제 사업 선정 결과를 놓고 보면 세종시에 대한 배려가 빠져 있다”며 “새 정부가 2030년 완성기까지 기초시설에 대한 투자를 정상화하길 바란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